경기도가 무주택자 누구나 안심하고 평생 거주할 수 있는 프리미엄급 기본주택 공급에 나선다.
23일 도는 기존 공공임대주택의 방수와 단열재, 바닥 슬라브 완충재를 보강해 누수와 결로, 층간소음과 같은 3대 하자를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경기도 기본주택 통합설계기준’ 제정 방향을 ▲하자 제로(Zero) 목표 ▲분양주택 수준의 품질 ▲평생거주 고려로 결정했다.
우선 누수에 취약한 부분을 분석해 보강 방수 등으로 사전 차단하고, 단열재 누락 및 결손 등으로 인한 결로를 방지한다. 바닥 슬라브에 완충재를 30㎜ 이상 보강해 층간소음에 대한 대책을 세우고 구체적인 기준도 제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임대주택과 분양주택의 품질 차이를 없애고자 세대 내 마감재 상향과 기계환기 방식을 도입한다. 디지털 도어락과 LED조명, 친환경 강마루 등도 설치해 분양주택 수준의 시설 개선도 추진한다.
디자인에서는 기존의 밋밋한 구조에서 탈피해 공모형 설계방식을 도입하고, 발코니 확장 평면과 가구당 1대 이상의 주차를 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설계기준도 만든다.
아울러 도는 기본주택 입주민들이 안전하고 마음 편히 30년 동안 살 수 있는 공공주택을 실현하고자 10년경과 시부터 3년마다 노후화 점검을 시행한다. 주기적으로 전면/부분 리모델링을 추진하며, 리모델링에 쉬운 구조와 설비공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유지관리가 수월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또 관리비 절감을 위해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스마트 난방 분배시스템 등 다양한 에너지 절약방안을 기준에 포함한다.
‘경기도 기본주택 통합설계기준’은 연구용역을 통해 전문가들의 검토와 충분한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올해 하반기에 발표한다.
도 관계자는 “공공임대주택은 저렴하기만 한 주거형태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 진정한 보편적 주거권을 보장함으로써 경기도 기본주택을 모든 사람들이 거주하고 싶어 하는 공공임대주택의 표본으로 만들겠다”고 했다.
손원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