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3천명에 달하는 지역 내 북한이탈주민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다양한 지원정책을 펼친다.
24일 시에 따르면 인천에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경기, 서울에 이어 3번째로 많은 북한이탈주민(2천986명)이 살고 있다. 이들 북한이탈주민 중 2천48명은 남동구에 산다.
시는 올해 ‘북한이탈주민지원 지역협의회’ 개최를 연 2회로 확대하는 등 민·관의 협업을 강화하고 북한이탈주민의 수요에 대응한 맞춤형 지원정책을 발굴·추진할 계획이다. 또 시는 인천하나센터 등과 분야별 실무협의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자립과 정착을 돕는다. 인천하나센터는 북한이탈주민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법률 교육, 취업상담, 심리상담, 진학상담, 지역주민 교류사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다.
시의 올해 북한이탈주민 맞춤형 지원정책 중 신규사업에는 ‘북한이탈주민 여성생활 실태조사’가 있다. 시는 인천하나센터, 인천여성가족재단과 공동으로 실태조사를 추진한 이후 결과를 토대로 실효성이 큰 생활밀착형 사업을 발굴할 방침이다.
특히 시는 지난 2019년부터 인천의 특화사업으로 자리 잡은 ‘북한이탈주민 종합건강검진비 지원사업’도 취약가구 우선 검진 등의 일부 내용을 보완·추진한다. 올해 북한이탈주민 종합건강검진비 지원사업의 대상은 모두 200명이다.
이와 함께 시는 현재 북한이탈주민의 자립을 돕기 위한 일자리 사업으로 ‘북한이탈주민 구인·구직 만남의 날’을 상·하반기 1회씩 개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밖에도 시는 인천하나센터의 운영 내실화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촘촘한 서비스 제공, 생활안정지원에 중점을 둔 긴밀한 복지지원체계 구축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용헌 남북교류협력담당관은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 정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시 혼자만이 아닌 관계기관들과의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도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으로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적극 발굴하겠다”고 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