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서 최근 3년간 발생한 화재 사망자 2명 중 1명이 아파트 등 주거시설 화재의 인명피해로 나타났다. 인천소방본부는 올해부터 주거시설 화재 사망자를 줄이기 위한 맞춤형 대응 및 예방정책을 마련·추진한다.
3일 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인천에서 발생한 화재는 2018년 1천620건, 2019년 1천499건, 지난해 1천368건 등 모두 4천487건이다. 이 중 주거시설 화재는 2018년 434건, 2019년 413건, 지난해 384건 등 1천231건(27.4%)에 달한다.
같은 기간 인천의 화재 관련 사망자 57명 중 주거시설 화재 사망자는 27명(47.4%)이다. 이들 가운데 9명은 다가구주택 화재, 8명은 아파트 화재, 6명은 다세대주택 화재로 사망했다.
전국적으로도 주거시설 화재는 전체 화재의 27.8%, 주거시설 화재 사망자는 전체 화재 사망자의 55%에 이른다.
특히 인천의 주거시설 화재 사망자는 2018년과 2019년에 각각 8명에서 지난해 11명으로 3명이 늘어났다. 전체 화재와 주거시설 화재가 감소세를 보이는 데도 주거시설 화재 사망자는 되레 증가한 것이다.
소방본부는 주거시설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를 줄여야 한다고 판단해 최근 ‘주택화재 인명피해 저감 종합대책’을 수립했다.
소방본부는 올해부터 4년간 주거시설 화재 사망자를 20%씩 줄여나갈 방침이다. 소방본부가 목표를 달성하면 2024년 주거시설 화재 사망자는 5명까지 줄어든다.
이를 위해 소방본부는 예방점검, 대응·대비, 교육홍보, 제도개선 등의 추진방향별 전략을 추진한다. 핵심 전략으로는 주거시설 밀집지역 화재안전관리, 주거시설 화재 맞춤형 현장대응 역량 강화, 주거시설용 소방시설 보급 및 관리, 공동주택 화재안전기준 도입 등이 있다.
소방본부 관계자는 “전문성이 담보된 관리·감독 등 화재 예방활동, 인명구조 우선의 현장대응 체계 운영 등이 주거시설 화재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한 정책들의 추진방향”이라고 했다. 이어 “현장 맞춤형 대응 및 예방정책을 추진해 주거시설 화재 사망자를 줄이겠다”고 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