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해양수산부와 함께 추진하는 국립인천해양박물관 건립사업이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13일 시에 따르면 지난 1일 인천해양박물관 건립 사업을 위한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을 재개했다. 인천해양박물관은 해수부가 사업비 1천81억원을 들여 중구 북성동1가 106의7 일대 2만7천335㎡ 부지에 만드는 수도권 최초의 국립해양박물관이다.
앞서 시는 지난해 12월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을 9개월 만에 중지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으로부터 용역과 관련한 일부 지적사항이 나왔기 때문이다. 당시 한강청 등은 용역에 생물 및 서식지 보존대책, 하수 및 폐수 배출의 영향 및 관리대책 등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시는 한강청 등과 다시 협의하고 이들 지적사항을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에 반영했다.
시는 또 정상적인 인천해양박물관의 착공을 위해 도시관리계획(월미지구단위계획) 결정 용역도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과 함께 오는 6월까지 마무리하기로 했다. 인천해양박물관 건립의 사업 주체는 해수부이지만, 시가 사업 부지를 소유해 착공 전까지 도시관리계획 수립 등의 행정 절차를 밟아야 한다.
시의 계획대로라면 오는 6월께 해수부가 인천해양박물관의 건립공사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인천해양박물관의 준공 목표는 2023년이다.
특히 시는 앞으로 인천해양박물관에 지역의 특성이 잘 묻어날 수 있도록 해수부에 관련 의견을 전달할 계획이다. 현재 시는 인천의 앞바다에서 발굴한 ‘영흥도선’을 콘셉트로 한 자료관을 비롯해 해양민속사관, 해운항만관, 해양환경관 등의 공간을 지역의 특성과 맞물려 구성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인천해양박물관 건립에 따른 월미도 앞바다 뱃길의 안전망인 ‘레이더사이트’의 전파 장애 문제 등도 곧 해결할 방침이다. 시는 그동안 중부지방해양경찰청 등과 협의해 중구의 송산공원 등에 레이더사이트를 추가 설치하는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시는 부지를 제공하고, 해경은 시설물을 세우는 방안이다.
시 관계자는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이 잠시 멈췄다가 재시작했지만, 전체 건립 일정엔 영향을 미치진 않을 것”이라며 “사업이 차질을 빚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행정지원을 하겠다”고 했다.
이승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