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5도 남북공동어로구역 설정 등 인천 남북교류사업 기대감↑

남북이 13개월여 만에 통신연락선을 복원하면서 민선 7기 인천시의 남북 역사·문화 교류 활성화 등 남북교류사업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27일 청와대 등에 따르면 남북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남북 간 통신연락선을 복원하기로 했다. 이는 북한이 지난해 6월9일 일부 탈북민 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반발해 남북 간의 모든 통신연락선을 일방적으로 끊은 지 413일 만이다.

특히 이번 통신연락선 복원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합의에 따른 것이다. 앞서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지난 4월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친서를 교환했고 통신연락선 복원 등 남북관계 회복에 뜻을 함께했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긴급 브리핑을 통해 통신연락선 복원을 발표하면서 “이번 남북 간 통신연락선 복원은 앞으로 남북관계 개선과 발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남북이 통신연락선을 복원하는 등 관계 회복을 위한 소통을 시작하면서 답보 상태에 빠져 있던 시의 남북교류사업 등도 활력을 되찾을 전망이다.

박남춘 인천시장의 공약사업으로 시가 추진 중인 남북교류사업은 남북 역사·문화 교류 활성화, 서해5도 남북공동어로구역 설정 등 2개다. 또 시는 ‘서해평화협력시대 선도’와 ‘평화 경제 협력 인프라 조성’을 위해 서해평화협력청 설치 및 유엔(UN)평화사무국 유치, 백령도~중국 항로 개설, 영종~신도~강화~개성~해주 서해남북평화도로 건설 등도 공약사업으로 추진 중이다.

이 중 남북 역사·문화 교류 활성화와 통일경제특구 지정을 통한 교동평화산업단지 조성 등 2개의 공약사업은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북한의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에 따른 남북관계의 악화로 지난달까지 ‘일부 추진(부진 사업)’ 단계에 머물러 있는 상태다. 서해5도 남북공동어로구역 설정 역시 국방부·통일부·해양수산부 등을 통한 남북 간 합의 또는 협의가 이뤄져야 한다는 숙제를 안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이번 통신연락선 복원을 정상적인 남북교류사업 추진의 신호탄으로 판단하고 있다. 남북 역사·문화 교류 활성화와 관련한 남북 스포츠 교류사업, 남북학생 강화·개성 교차 수학여행 등을 위해서는 정부부처 등을 통한 남북 간 협의를 선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통일경제특구 지정을 통한 교동평화산업단지 조성은 남북관계 회복을 밑거름으로 한 ‘통일경제특별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의 입법 등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

시 관계자는 “이번 통신연락선 복원으로 남북이 서로 소통하며 관계를 회복해 나간다면 시의 남북교류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이어 “그동안 정상적인 남북교류사업을 위해 추진해온 용역 등을 토대로 정부와 뜻을 맞춰 인천이 남북 평화를 넘어 동북아 평화번영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