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앞바다의 오염 원인 대부분이 경기도와 서울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경기도와 서울시가 인천 앞바다 오염과 관련한 재정 분담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달 발간한 ‘2021 환경백서’를 통해 인천 앞바다에 대한 오염물질의 유입 경로를 해역, 한강, 시화호 등 3곳으로 구분했다. 이 중 가장 많은 오염물질의 유입 경로는 경기·서울지역을 거쳐 인천 앞바다로 이어지는 한강이다. BOD(생화학적 산소요구량)의 65%(1일당 15만3천55㎏)가 한강으로부터 나올 정도다. BOD는 미생물이 물 속의 유기물을 분해할 때 쓰는 산소의 양이다. 오염이 심각한 물에서는 유기물이 많아지기 때문에 덩달아 BOD도 올라간다.
해역의 오염부하량(오염물질의 단위시간당 배출량), 한강의 유달부하량(자정작용을 거쳐 도달한 오염물질의 양) 등을 통해 지방자치단체별로 영향을 주는 비율을 산정하면 BOD는 경기도 44%(1일당 13만115㎏), 서울시 23%(1일당 6만8천258㎏), 경기 안산에 있는 시화호(해양수산부 관리) 20%(1일당 5만9천769㎏) 등이다.
T-N(총질소)은 경기도 38%(1일당 10만2천339㎏), 서울시 25%(1일당 6만5천874㎏), 시화호 20%(1일당 3만558㎏) 등의 비율을 나타냈다. T-N은 조류가 급속히 증식하는 현상인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질소화합물의 총량으로 축산폐수 등을 통해 나온다. T-N과 함께 부영양화를 보여주는 지표인 T-P(총인)는 경기도 54%(1일당 1만4천142㎏), 서울시 23%(1일당 5천548㎏), 시화호 20%(1일당 3천485㎏) 등이다.
반면, 인천시가 영향을 주는 비율은 BOD 9%, T-N 4%, T-P 3% 등에 불과하다. 인천 앞바다 오염에 대한 경기도·서울시의 책임이 인천시보다 큰 것이다.
신은호 인천시의회 의장은 “인천 앞바다 오염의 주범이 경기도·서울시인 만큼, 이들이 책임지고 강력한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했다. 이어 “인천시의회도 촉구 결의안 발의 등 해양 오염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 나서겠다”고 했다.
하지만 인천시는 경기도와 서울시에 인천 앞바다 오염의 책임을 묻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현재 인천시는 경기도, 서울시 등과 인천 앞바다의 폐기물 관리 등에 대해서만 재정 분담을 하고 있을 뿐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환경백서만을 토대로 경기,서울과 재정 분담을 논의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라며 “경기,서울에 책임을 요구할수 있는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오염 수치 자료를 용역을 통해 만들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