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재생용 재료수집판매 중소업계가 환경정화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음에도 대부분의 업체들이 집하장을 마련하지 못해 어려움이 많다며 지자체별로 가용부지를 임대 또는 불하해 달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30일 재생용 재료수집판매업협동조합에 따르면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에는 지자체별로 가용부지를 임대 및 불하해 재활용산업의 활성화는 물론 환경정화로 지역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그러나 도내 2천여개의 재생용 재료수집판매 업체중 30%에 상당하는 200여개 업체만 부지를 확보, 집하장을 운영하면서 재활용재료를 수집판매하고 있을뿐 1천800여 업체는 영세성 등으로 집하장을 마련하지 못하고 운영함에 따라 관계당국의 단속과 환경오염 및 주민과의 분쟁 등 사회적 마찰을 빚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업계는 연간 수집해 판매하는 고철, 고지류 등 재활용 물량이 66만t(600여억원 상당)에 달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일익을 담당하는 한편 환경정화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자체별로 가용부지를 임대 또는 불하해 공동집하장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협동조합 관계자는 “지난해 부천시의 경우 공동집하장 마련요구 건의에 대해 시의회에서 통과가 됐음에도 시가 반대해 결국 무산됐다”며 “도내 대부분의 지자체들이 부지가 없다는 이유를 들어 공동집하장 마련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말했다.
이에대해 한 지자체 관계자는 “주민들의 민원발생 우려가 높아 부지 선정에 어려움이 많다”고 밝혔다./표명구기자 mgpy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