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아도 잡아도 몸 불리는 더러운 피라미드

70여개 다단계업체 작년 매출액 3조 육박

구입강요·대출사기 등 피해도 덩달아 늘어

복학을 앞둔 A씨(23·수원시)는 최근 불법 다단계업체에 발을 들이면서 800여만원의 피해를 입었다.

월 1천만원의 고소득을 보장해준다는 지인의 추천으로 사전 교육차 5일 간의 합숙소 생활을 하던 중 대출을 강요받으면서 사기를 당한 것.

자금마련, 성공담 등을 비롯해 부모로부터 돈을 구하는 방법, 대출 방법 등을 교육받으면서 A씨는 불법 다단계업체라는 의심을 가졌지만 교육 첫 날 짐과 휴대전화를 압수당하는 등 외부와의 접촉이 차단된 채 합숙소에 지내게 되면서 나올 수가 없었다.

상위판매원들의 협박과 집요한 물품 구입 강요에 A씨는 결국 음반, 책자 등 물품 500여만원 어치를 구입했다.

A씨는 “교육 중 대출 대행회사에서 800만원을 대출받았고 물건값, 소매마진, 합숙소비 등으로 모두 사용했다”며 “의심이 들었지만 고소득을 보장한다는 일대일 면담이 온종일 진행된데다 관계자들이 협박과 폭언까지 일삼으면서 등 떠밀리듯 대출까지 받게 됐다”고 말했다.

이처럼 불법 다단계 피해가 여전한 가운데 다단계 시장의 규모가 갈수록 확대되면서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10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다단계판매업자의 정보공개에 관한 고시’에 따르면 올 4월 말까지 영업 중인 70여개 다단계 판매업체의 지난해 매출액은 총 2조9천492억원으로 전년 대비 16.4%p 오르는 등 시장규모가 급증했다.

다단계판매 시장규모는 2007년 이후 꾸준히 성장하면서 2008년 2조1천956억원, 2009년 2조2천585억원, 2010년 2조5천334억원, 지난해 2조9천492억원 등 매년 평균 10.4%씩 증가했다.

이 가운데 다단계 사기 가해자도 꾸준히 검거되면서 주의가 요구된다.

경찰청이 검거한 불법다단계 가해자는 2008년 974명, 2009년 2천659명, 2010년 898명, 지난해 1천153명으로 매해 1천~2천명에 이르는 실정이다.

공정거래위원회 관계자는 “합법적인 다단계업체와 불법업체를 구별해 피해를 예방하는 게 중요하다”며 “고수익을 보장하고 강압적인 교육을 하거나 시·도에 등록돼있지 않고 판매원 탈퇴를 막는 업체는 불법이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성보경기자 boccu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