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가 저상버스 등 장애인과 노약자 등을 위한 대중교통수단을 주변 대도시에 비해 적게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경기도에 따르면 용인시내를 운행 중인 대형 시내버스 162대 중 교통약자를 위해 도입해야 할 저상버스 법정대수는 54대지만 실제 운행 중인 저상버스는 10대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수원시 156대, 성남시 127대, 부천시 101대, 안산시 97대, 남양주시 77대 등 인구 50만명 이상인 도시에 비해 월등히 적다.
특히, 용인시 인구의 절반도 안되는 광주시는 올해 34대를 추가해 총 104대의 저상버스를 운행하고 있으며 수원시는 27대, 부천시는 21대, 안양시는 16대를 추가 도입했지만 용인시는 고작 3대만 추가했다.
이와 관련 용인시는 면적이 넓어 운행거리가 길고 농촌이 많아 운수업체가 저상버스 도입을 꺼리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용인과 면적이 비슷한 남양주와 평택도 각각 77대와 35대를 운행 중인 것으로 미뤄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특히, 수원시의 경우 매년 저상버스를 꾸준히 늘려 2016년까지 전체 시내버스의 40%(324대)까지 끌어 올리기로 한 것과 비교하면 지나치게 소극적인 게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용인시는 면적이 넓고 굴곡진 도로가 많아 운수업체가 저상버스 도입을 꺼리는 게 사실”이라며 “2016년까지 저상버스를 꾸준히 도입해 법정기준을 충족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저상버스는 교통약자가 쉽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바닥이 낮게 특수 제작된 차량으로 운송업체가 저상버스를 구입할 경우 일반 CNG버스와의 가격차액(대당 9천820만원)을 국비 50%, 도비 15%, 시비 35%로 나눠 지원한다.
용인=박성훈기자 pshoon@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