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일자리 중심 서비스산업’ 허브로

정부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

인천시가 중앙정부의 지원을 받아 일자리 중심의 서비스산업 허브 특화도시로 개발될 수 있을지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12일 대통령 주재로 제5차 무역투자진흥회의 및 지역발전위원회 연석회의를 열고 지역특화발전 프로젝트, 지역행복생활권, 규제완화 등이 포함된 ‘지역경제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지역특화발전 프로젝트는 지역별로 특화산업을 제안받아 15개 후보군을 추린 것으로, 오는 7월께 지원사업이 확정된다.

인천시는 지역특화발전 프로젝트 부문에서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일자리 양산형 서비스산업 허브 구축’ 사업을 제안했다.

인천국제공항, 유엔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 등 인프라를 활용해 송도국제도시를 글로벌 교육, 금융, 전시, 의료 등 서비스산업 허브로 조성할 계획이다.

송도는 GCF를 비롯해 국제기구가 12개 입주해 있고 뉴욕주립대 등 글로벌대학 캠퍼스, 체드윅 국제학교,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동아제약, 한진의료복합단지 등 교육·바이오·의료 산업 집적화가 진행되고 있다.

시는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단지를 만들어 경제성장과 고용창출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송도컨벤시아 2단계 시설 확충, 스마트 마이스(MICE) 복합지구 조성 등 첨단 비즈니스 환경도 만들 계획이다.

이에 따라 시는 송도를 국제기구형 마이스 복합지구로 조성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와 국회에 ‘국제회의 산업육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조속히 처리해줄 것을 요청하고 글로벌 법률, 회계, 컨설팅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경제자유구역 내 서비스 외투기업 인센티브 조항을 신설해 줄 것을 건의했다.

인천은 또 부천과 함께 지역행복생활권으로 묶였다. 끊어진 생태길을 연결하는 ‘한남정맥 마루금 잇기 사업’, 근대건축물 보존사업 등을 시범적으로 추진한다.

이 밖에도 인천은 대구, 광주와 함께 도시첨단산업단지로 개발될 예정이다. 중앙정부는 생활 기반시설이 좋은 도심지역에 첨단산업단지를 조성, 우수한 인력유입을 원활하게 할 방침이다.

현재로서는 인천이 특화프로젝트로 선정되는 과제가 남아있긴 하지만 전망은 밝은 편이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지역발전위원회 측과 협의해 박근혜 정부의 인천 공약이고 인천의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서비스산업으로 결정했기 때문에 선정 가능성은 높다”고 설명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