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생 전년比 5만명 감소 불구
처리비는 되레 3억5천만원 증가
4년간 200억 소요… 대책 시급
무상급식 실시 이후 급증하는 잔반 때문에 각급 학교의 음식물 처리비용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9일 경기도교육청이 경기도의회 지미연 의원(새ㆍ용인8)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0년 이후 도내 초등학생의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지난 2010년 88만1천909명이던 초등학생 수는 2011년 85만1천896명, 2012년 81만1천725명, 지난해 75만9천586명으로 4년간 12만2천323명이나 줄어들었다.
하지만 같은 기간 동안 각 학교에서 무상급식 실시 이후 발생한 음식물 처리 예산은 급증했다.
지난 2010년 17억6천만원이던 도내 초등학교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은 2011년 18억3천만원, 2012년 19억7천만원으로 매년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학생수가 전년보다 5만명 이상 감소했음에도 불구,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은 3억5천만원이나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런 가운데 시ㆍ군 학교별 음식물쓰레기 처리량에서도 큰 편차를 보였다.
수원시의 경우 지난해 초등학생 수가 7만149명으로 연간 1천636t의 음식물쓰레기가 발생했지만, 같은 기간 학생수가 3천551명이나 적은 용인시에선 2천7t의 음식물쓰레기가 배출, 수원보다 오히려 371t이나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또 지난 한해 동안 도내 초ㆍ중ㆍ고 434개교에서 1년간 5t 트럭 922대 분량인 4천611t의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됐으며, 이를 처리하기 위해 61억7천여만원의 비용이 드는 등 최근 4년간 음식물쓰레기 처리에만 200억원이 넘는 예산이 소요됐다.
최근 무상급식이 정착됐지만 학생들이 학교급식에 대한 불만이 높아 잔반이 늘어나는데다 학교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도교육청 차원의 제도적 장치도 미흡하기 때문에 이같은 현상이 벌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지미연 의원은 “각 학교의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이 크게 증가한 것은 처리 단가의 상승 요인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학생들이 급식을 남기면서 잔반 양이 많기 때문”이라며 “지역별로도 큰 차이를 보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만큼 음식물쓰레기 감소를 위해 교육차원의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