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성취도 순위 소폭 상승했지만 ...中 11위·高 15위 그쳐

경기지역 중·고생의 학업성취도가 조금 나아졌으나 여전히 전국 시·도 중 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교육청은 내년에 교사연수, 노후컴퓨터 교체 등의 예산을 대폭 삭감하는 긴축재정운용에 돌입, 학습권 침해에 따른 학업성취도가 더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일고 있다.

30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교육부가 지난 28일 발표한 중학교 3학년 및 고교 2학년 대상 ‘2014년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경기지역 기초학력 미달학생 비율은 중학생 3.8%, 고교생 5.5% 등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국 평균(중학생 3.7%, 고교생 4.2%)보다 각각 0.1% 포인트, 1.3% 포인트 많은 수치이며 지난해와 비교하면 중학생은 같고, 고교생은 0.7% 포인트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중학생은 11위, 고등학생은 15위를 차지, 지난해 14위, 15위에서 중학생만 3단계 올라갔다.

이와 함께 보통학력 이상 비율은 △중학생의 경우 국어 2.7% 포인트, 수학 1.6% 포인트, 영어 1.7% 포인트로 세 과목 모두 늘어났으며 △고교생은 국어와 영어 각각 4.3% 포인트, 0.8% 포인트 증가한 반면 수학은 0.3% 포인트 줄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각종 교사 연수와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해 내실화를 추구, 성취도를 향상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도교육청의 긴축재정 운용으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오히려 악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도교육청은 당초 계획했던 경기학습클리닉센터, 교원힐링센터 등 3개 센터의 내년 설립을 보류한데다 교원 등이 요구한 176건의 워크숍 중 56건만 반영하고 36건을 일부반영, 84건을 미반영했다.

여기에 교원 등이 요구한 컴퓨터·노트북 구입비(7천700여만원)도 전액 반영치 않는 등 원활한 예산지원이 안돼 자칫 ‘학습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을 낳고 있다.

박수철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