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환자 중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을 앓고 있는 환자가 3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했더라도 전신수행상태가 양호하다면 4차 항암화학요법 또는 그 이상의 항암화학요법을 하는 것이 생존기간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제시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주대학교병원 종양혈액내과 폐암센터 최진혁 교수팀(이현우ㆍ안미선 교수, 최용원 임상강사)이 2002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10년 동안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으로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383명을 대상으로 생존기간과 예후인자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전체 383명의 환자 중 4차 혹은 그 이상의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77명의 중앙생존기간은 27개월로 3차 혹은 그 이하의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인 9개월 보다 길었다.
특히 나이, 성별, 전신수행상태 등과 별개로 4차 이상의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사실이 생존기간 향상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4차 이상의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는 4차 치료 시점부터 9개월의 중앙생존기간을 보여줬다.
4차 항암화학요법 치료 시작 당시의 전신 수행상태가 좋지 못한 환자는 중앙생존기간이 2개월로 전신수행상태가 양호했던 환자의 중앙생존기간 10개월에 비해 치료 결과가 나빴다.
최진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비교적 많은 비소세포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4차 혹은 그 이상의 항암화학요법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 4차 이상의 항암화학요법이 환자의 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2014년 11월 29일 폐암 관련 국제학술지인 폐암(Lung Cancer) 인터넷 판에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에서 4차 항암화학요법이 표준 치료인가?(Is fourth-line chemotherapy routine practice in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류설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