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뇌혈관질환, 국가가 잡는다…‘중앙-권역-지역’ 체제 구축

고령화 영향으로 매년 심뇌혈관질환 환자가 증가하면서 그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늘어나자 정부가 지역사회 응급대응 안전망 확충을 위한 중앙-권역-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 체제를 구축에 나섰다.

 

보건복지부는 4일 심뇌혈관질환관리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제1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2018~2022)’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심뇌혈관질환은 심장·뇌로 향하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혈액순환이 잘되지 않아 심장·뇌 기능이 손상되는 질환을 말한다. 심근경색, 뇌졸중이 대표적이다. 심뇌혈관 선행질환이라 할 수 있는 고혈압·당뇨병도 포함된다.

 

이번 종합계획은 ‘심뇌혈관질환 걱정 없는 건강한 사회’를 비전으로 급성심근경색·뇌졸중, 고혈압·당뇨병, 심부전 등 심뇌혈관질환을 ‘예방-치료-관리’하는 전주기적인 관점에서 수립됐다.

 

이에 따라 이번 종합계획은 더 큰 질병으로 발전하기 전의 예방관리, 가까운 곳에서 적정 의료기관을 이용할 수 있는 기반 구축, 후유증?재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사후관리 등에 초점이 맞춰졌다.

 

우선 예방을 위해서는 질환의 증상과 대처방법에 대한 정보제공을 강화하고, 심폐소생술 등 초기 대응 방법 교육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시·도, 보건소)와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의 협업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오는 2020년까지 심뇌혈관 종합포털사이트를 구축해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알기 쉬운 정보를 한 곳에서 검색,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아울러 고위험군과 선행질환 관리 강화를 위해 한국인에게 적용가능한 고혈압 등 심혈관계 질환의 고위험군 선별기준과 선별도구?관리지침 등을 개발해 확산할 계획이다.

 

이번 종합계획의 핵심은 지역사회 응급대응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다. 환자들이 가까운 곳에서 적정 의료기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구축하자는 것이다.

 

정부는 현재 14개의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지정해 운영(3개 운영 준비)하고 있다.

 

여기에 뇌혈관질환관리 사업의 구심점 역할을 할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를 지정해 운영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응급상황 대처,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1차(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도 지정·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중앙-권역-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로 연계해 촘촘한 심뇌혈관질관 안전망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또 환자의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퇴원 후 체계적인 정보제공과 상담서비스,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등 종합지원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