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제1호 경기도형 특별생활치료센터' 오픈… 병상수 애초 계획 절반
지역사회 시흥시

'제1호 경기도형 특별생활치료센터' 오픈… 병상수 애초 계획 절반

시흥시 옛 시화병원에 설치된 코로나19 경기도형 특별생활치료센터 1호시설. 병원 입구에 특별생활치료센터를 알리는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김형수기자

경기도가 추진하는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와 전담의료기관의 중간단계인 경기도형 특별생활치료센터 1호시설이 27일 시흥시의 옛 시화병원서 문을 열었다.

하지만 계획단계부터 인근 상인들의 반발과 감염취약시설 등 병원상황을 고려하지 못한 계획 발표로 애초 계획한 병상수의 절반가량 확보에 그치게 됐다.

경기도와 시흥시, 시화병원 관계자 등에 따르면 경기도는 이날 오전 제1호 경기도형 특별생활치료센터를 구 시화병원 자리에 열고 코로나19 확진자 입소를 받고 있다.

도는 애초 구 시화병원 신관 건물 5층 전체를 생활치료시설로 지정하고 145개 병상과 이 중 중증환자 병상 16개를 확보할 계획이었다.

이런 가운데 병원 신관 건물이 단독건물이 아니라, 상가 복합건물로 3~4층에는 노인 요양병원, 1층에는 산부인과가 운영 중이다.

사정이 이렇자 사업추진과정에서 인근 옥구상인회는 물론 해당 요양병원 및 산부인과 등에서 감염을 우려한 반발이 이어졌다.

도는 한발 물러서 병상수가 적은 병원 본관 4~5층을 활용키로 계획을 바꾸고, 애초 계획의 절반 수준인 70여병상을 확보, 이날 개소했다.

경기도와 시흥시는 옥구상인회와 향후 협의를 통해 별도 지원방안도 고심 중이다.

생활치료센터의 운영은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이 주관한다. 김기세 도 자치행정국장을 합동지원단장으로 경기도, 시흥시, 경찰, 소방서, 의료진 등 최대 85명의 인력이 투입된다.

이들 행정지원 인력들은 2주간 교대근무가 원칙이다. 2주 근무 후 1주간 자가격리된다.

센터는 음압병실을 갖추고 고령 확진자와 12개월 미만 경증 확진자들이 입소할 계획이다. 산소공급과 수액, 간단한 해열제 처방 등이 이뤄지며 중증 확진자가 발생하면 이송을 원칙으로 한다.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 관계자는 “감염 전담 병원에 입소하지 못하고 대기 중인 고령 확진자와 과 12개월 미만 자가격리자들이 입소한다”며 “남ㆍ여 구분 등으로 베드의 10%는 소실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시흥=김형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