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탑승객 수가 여러 차례 바뀐 이유가 허술한 여객선 신원확인 시스템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해상여객운송사업 면허 조건에 따르면 지방해양항만청은 선사 측에 여객선 승선권에 승선자의 인적 사항을 적어 3개월 동안 보관하도록 명시돼 있다.
하지만 세월호 선사인 청해진해운이 작성한 승선자 명단에는 승선권에 적게 돼 있는 이름, 생년월일, 휴대전화 번호를 모두 작성한 승선객이 80여명에 불과했다.
특히 화물차량 기사 33명 중 대부분이 생년월일이나 휴대전화 번호를 남기지 않았다.
항공기와 다른 허술한 지금의 여객선 시스템이 마련된 것은 20년 전이다.
지난 1995년 해운항만청은 연안여객터미널에서 승선권을 구입할 때 신분증을 제시하던 절차를 없애고 여객선 승선자의 인적사항을 적도록 하는 내용의 '여객선 승선정원 관리제도'를 시행했다.
당시 승선권에 인적사항을 적는 게 의무사항이 아니어서 해난 사고 때 인원 파악에 어려움을 겪었고, 이에 승선자의 인적사항을 승선권에 쓰도록 해 해난사고 때 승선자 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했다.
하지만 20년이 지난 지금 인적사항을 적는 게 의무사항이 됐지만, 이름과 생년월일이 곧바로 찍혀 발급되는 항공권과 달리 승객이 직접 승선권에 적도록 하는 방식은 바뀌지 않았다.
이에 대해 인천연안여객터미널의 한 관계자는 21일 "인천 시민은 할인을 받아 배표에 이름과 생년월일이 찍혀 나오지만 타 지역 주민들은 직접 신원을 쓰게 돼 있다"며 "승선권 시스템 자체를 항공권처럼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신지원 기자 sj2in@kyeonggi.com
사진= 세월호 침몰 사고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