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단체들이 정부의 무사안일한 태도가 살충제 계란 사태를 불러왔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또 소비자들이 먹거리에 대해 안심할 수 있도록 농장을 비롯해 육계 등에 대해서도 전수조사 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소비자교육중앙회, 한국여성소비자연합 등 11개 소비자단체로 구성된 소비자단체협의회는 16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유럽 살충제 달걀 사건 이후 국내 살충제 성분 검출로 소비자가 불안해하고 있다”며 “당국이 무사 안일한 태도로 지금의 사태를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협의회는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 지난해 9월 국정감사를 앞두고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국회에 제출한 답변서를 들었다. 2013년 초부터 지난해 상반기까지 농림축산식품부와 식약처가 산란농장ㆍ달걀에 대한 잔류 농약 검사를 한 번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협의회는 “당시 국정감사에서 문제가 되자 전체 산란계 농장의 4% 정도만 조사해 ‘유해성분이 없었다’고 발표했다”고 지적했다.
협의회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농장, 사료, 도축장, 가공장, 유통업체까지 소비자가 안심할 수 있는 점검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가의 살충제 투입경로를 확실히 파악해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도 했다. 협의회 측은 “당국은 가축사육 농장, 사료, 도축장, 가공장, 유통업체까지 점검해야 한다”며 “식약처는 닭고기의 잔류농약 검사도 당장 실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이 팽배해진 가운데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사육환경 조성과 주무 부처 등의 협력 공유체계가 필요하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협의회는 “정부가 이익을 앞세운 채 안전을 등한시했기 때문인 만큼 가축들이 건강하게 사육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수 있도록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며 “관계부처인 농식품부와 식약처는 주도권 다툼만 하지 말고 국민 안심정책을 위한 협력 공유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