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계란 파문] 경기·인천 학교 ‘계란 급식’ 중단… 식재료 긴급 점검

개학한 학교 메뉴 변경 분주한 움직임
장기화 땐 급식차질 불가피 대책 시급
도교육청 “학생들 피해 없도록 노력”

‘살충제 달걀’ 파문이 확산되면서 경기·인천지역 학교 급식에서 당분간 달걀과 관련된 식단을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더욱이 이번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이번 주부터 여름 방학이 끝나는 일선 학교별로 가장 손쉬운 식재료인 ‘달걀’로 인한 급식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도 높아져 교육당국의 신속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6일 교육당국 등에 따르면 교육부는 이날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농림축산식품부, 지방자치단체 등과 함께 학교 급식소, 전국 식재료 공급업체 등에 대한 점검에 나섰다. 또 전국 시·도교육청에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농장을 안내하고, 이들 농장에서 생산된 달걀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내용의 공문을 전달했다. 아울러 “급식 식재료 검수를 강화하고 전수조사가 끝나기 전까지 달걀을 사용하는 식단은 다른 메뉴로 변경해 급식을 제공하라”고 덧붙였다.

 

이에 개학을 맞은 경기지역 일선 학교들은 급식 식단에서 달걀이 포함된 메뉴를 변경하는 등 분주한 움직임을 보였다. 

이날 수원의 A 중학교는 급식 메뉴로 선정된 호박전과 달걀찜을 다른 메뉴로 바뀌기 위해 영양사와 논의를 벌이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A 중학교 교장은 “달걀이 포함된 음식이 나오지 않도록 영양사와 함께 점검을 벌였다”면서 “우려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교직원 모두가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내 B 고교도 다음 주 급식 메뉴로 선정된 달걀 음식을 다른 음식으로 급히 대체했다. B 고교 관계자는 “학생들의 건강과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달걀 사용을 당분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인천시교육청도 안전성이 확인될 때까지 학교 급식에 달걀을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시 교육청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전수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학교 급식에 달걀을 쓰지 않고, 결과에 따라 후속 조치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인천에서 개학한 학교 190곳(초등 12곳, 중학교 73곳, 고교 105곳) 가운데 다행히 살충제 성분 등이 검출된 달걀을 구매해 보관 중인 학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구현희 친환경학교급식경기도운동본부 상임대표는 “위생사고나 안전에 문제가 생길 때 마다 임시처방으로 일관하는데 이는 근본적인 대책이 되지 않는다”면서 “재발 방지를 위해 장기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살충제 달걀’ 파문이 생각보다 커지고 있다”면서 “교육부와 각 지역교육지원청, 일선 학교와 유기적으로 대응해 이번 사태로 학생들이 조금이나마 피해를 보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규태·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