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계란’ 후폭풍 일파만파 무조건 환불요구 고객에 울상
소상공인 피해 눈덩이 ‘무대책’ AI 이어 살충제… 최악의 상황
"우리가 파는 계란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는데, 계란을 사려는 사람들이 없어요."
인천 서구의 한 중소마트 운영자 A씨는 ’살충제 계란’ 사태 이후 매출이 급감했다며 한숨을 쉬었다.
그는 "우리는 가지고 있는 물량을 전부 다 팔아야 하니까 일단 판매를 계속하긴 했는데, 사는 사람이 없다"며 "오히려 예전에 사갔던 사람들이 의심스럽다면서 환불해달라고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인천 계양구에서 슈퍼마켓을 하고 있는 B씨 역시 사정은 다르지 않다.
그는 "원래 주변 주민들이 계란을 많이 찾는 편이어서 다른 품목보다 계란 물량을 많이 확보해 놓는 편"이라며 "이번 살충제 계란 논란이 터지고는 우리가 받아오는 농장의 검사 결과도 게시를 하고, 문제가 없다는 내용을 홍보하고는 있지만 그래도 절대 안먹겠다고 화를 내는 사람도 있었다"고 했다.
‘살충제 계란’ 논란이 일파만파 커지고 있지만 소상공인들의 피해보상 대책은 사실상 전무한 것으로 확인됐다.
17일 농림수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이날 중으로 전수조사가 마무리 돼 18일에는 계란 판매가 정상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3일동안 계란 유통이 전면 금지되면서 이미 소상공인들의 피해는 심각한 수준이다.
특히 소상공인연합회 조사 결과 지난 1월 조류인플루엔자(AI)로 매출이 93% 이상 감소한 소상공인들은 이번 사태를 겪으면서 폐업 위기에 내몰린 상태다.
강종성 (사)한국계란유통협회 회장은 “몇몇 잘못된 농장주들 때문에 유통업계 소상공인들만 극심한 피해를 보고 있다”며 “완전 식품으로 사랑받던 계란이 졸지에 위험식품으로 인식돼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으면서 상인들의 어려움은 말로 표현하기 힘들 정도”라고 했다.
그는 “며칠동안 계란을 전부 폐기처분하고 판매도 제대로 하지 못해 문을 닫아야 하는 영업장도 있는데, 우리는 누구에게 하소연을 해야 하냐”고 말했다.
정부가 보상 방안을 마련하지 않으면 소상공인들을 구제할 방안은 없다는 게 법조계 중론이다.
임지영 대한변호사협회 대변인은 “추후에 손해에 대한 배상을 청구하는 방안이 있긴 하지만 정부의 고의나 과실이 있었다는 걸 입증해야 하는 부분이라 사실상 보상이 어렵다”며 “정부가 철저한 검증 시스템을 갖추지 못했다는 점을 입증하지 않는 한 정부 보상 대책 외에는 사실상 피해를 상인들이 다 끌어안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경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