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계란 전국 확산… 구멍뚫린 정부 관리

제목 없음-1 사본.jpg
경기도에서 시작한 ‘살충제 계란 파문’이 전국을 덮쳤다.

17일 오전 기준 총 67개 농가에서 살충제 성분이 검출됐으며, 이 가운데 32곳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포천, 화성, 이천, 연천 등의 농가 계란에서도 살충제 성분이 잇따라 검출돼 도내에서만 부적합 계란 생산 농가가 17곳으로 늘어났다. 

기존에 확인된 피프로닐과 비펜트린 이외에 새로운 성분의 살충제도 발견됐다. 친환경 농가에서도 무더기로 검출되고 있어 전수조사를 마치면 ‘살충제 계란’ 농가 규모는 더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오전 5시까지 전체 조사 대상 1천239개 산란계 농가 중 876개(친환경 농가 683개ㆍ일반 농가 193개)에 대한 검사를 마쳤다고 밝혔다. 조사가 끝난 농가 중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곳은 67곳(친환경 농가 63곳, 일반농가 4곳)이었다. 이 가운데 32곳에서 생산된 계란은 살충제 과다 검출로 전량 회수ㆍ폐기한다.

 

시중에 유통된 계란에서도 살충제 계란이 속속 검출되고 있다. 이날 수원시에서는 1차 검사 결과 비펜트린 살충제의 함량이 기준치(0.01㎎/㎏)보다 4배 많은 0.04㎎/㎏을 초과한 계란 10만 8천 개가 반입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이미 9만 3천 개가 시중에 유통돼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홈플러스에 이어 이마트에서 판매한 계란에서도 살충제 성분인 비펜트린이 초과 검출됐다.

 

정부 당국의 친환경인증 시스템과 방제약품 사업의 허점도 잇따라 드러났다. 현재까지 부적합 판정을 받은 농가 32곳 가운데 친환경 인증 농가는 28곳으로 88%를 차지한다. 검출 비율로 보면 일반 농가가 0.7%인데 비해 친환경 인증 농가는 12.1배 높은 9.2%에 이른다.

 

특히 정부는 올해 닭 진드기 방제약품 시범사업을 추진하면서 예산으로 산 살충제를 산란계 농가에까지 무차별적으로 공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용인시도 5곳의 친환경 농가에 ‘아미트라즈’라는 살충제를 각각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친환경 인증제 개편을 추진하고 근본적인 개선을 대책을 조속히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