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사용방법 교육 전무
명확한 가이드라인 제시해야
경기도에서 시작한 ‘살충제 계란 파문’이 사실상 전국으로 확산하면서 식품ㆍ축산업 시스템을 대수술 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소비자들 사이에서 계란의 생산 지역번호를 나타내는 ‘08 포비아’가 확산한 만큼 경기도는 확고한 시스템과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17일 서정향 건국대 수의학과 교수(연구부총장)는 본보와의 인터뷰를 통해 “살충제 계란 파문은 식품 안전과 가축 위생ㆍ산업을 돌보는 국가의 관리ㆍ검사 시스템 미비, 공장식 밀집 사육의 재앙 등 총체적 문제가 한 번에 드러난 사태”라고 비판했다.
서 교수는 우선 피프로닐 등 이번에 문제로 검출된 살충제가 농민들이 마음껏 살 수 있는 허술함을 지적했다. 그는 “농민들에게 살충제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이 전혀 없었고, 이는 당국에서 관리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꼬집었다. 식용으로 사용할 가축을 기르는 농가를 대상으로 철저한 약품 사용 방법과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이번 사태를 해결할 방안 중 하나로 몸에 잔류가 되지 않는 약제 개발과 입식 전 양계장에 도포하도록 하는 등의 강력한 재발방지책을 주문했다.
특히 서 교수는 “항생제를 잔뜩 사용한 돼지나 닭은 도축 단계에서 검사를 통해 분류되고, 우유도 매일 샘플 채취과정에서 ‘부적격’ 제품이 걸러지지만, 계란은 이 같은 ‘사전 검역’이 전혀 없다”며 “우유의 등급을 매기듯이 마트의 계란도 정기적으로 수거해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그는 가축사육 환경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서 교수는 “이번 사태에서 친환경 농가 인증에 대한 문제가 불거졌듯이 안전한 먹을거리를 위해 가축 시스템과 식품 안전 시스템을 대대적으로 손봐야 한다”며 “지금이라도 정부차원에서 대책을 수립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