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지진] 진앙 주변서 액상화 현상… 국내 지진 관측 사상 처음

부산대 연구팀 “흙탕물 지표면 밖으로 솟아 건물 피해 커”

%EC%A0%9C%EB%AA%A9%20%EC%97%86%EC%9D%8C-1%20%EC%82%AC%EB%B3%B8.jpg
지난 15일 규모 5.4 지진이 발생한 경북 포항 진앙 주변 곳곳에서 ‘액상화’ 현상이 부산대 연구팀에 의해 확인됐다.

 

액상화는 강한 지진 흔들림으로 땅 아래 있던 흙탕물이 지표면 밖으로 솟아올라 지반이 액체와 같은 상태로 변화하는 현상이다.

 

지진 관측 사상 액상화 현상이 국내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 포항지진이 처음으로, 이 때문에 건물이 내려앉거나 기우뚱 쓰러지는 등 건물 피해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경주 지진 이후 정부 의뢰로 국내 활성단층 지도 제작 사업을 하는 부산대 손문 교수팀은 포항 진앙 주변 2㎞ 반경에 흙탕물이 분출된 흔적 100여 곳을 발견했다고 19일 밝혔다.

 

교수팀은 “17세기 우리나라에 큰 지진이 왔을 때 액상화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며 “하지만 국내 지진 관측 사상 액상화 현상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교수팀은 “액상화가 발생하면 지표면 위 건물이 일시적으로 물 위에 떠 있는 상태가 된다”며 “기울어진 포항의 대성아파트처럼 많은 건물이 액상화 영향으로 피해를 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교수팀은 최근 지진 현장을 점검하며 지진 발생 당시 진앙 주변 논밭에 ‘물이 부글부글 끓으며 솟아올랐다’는 주민 증언도 확보했다.

 

지진이 발생하기 전 이곳은 바싹 말라 있는 상태였다. 손 교수는 “활성단층 조사를 하다가 지진이 발생해 연구 분석작업을 하고 있다”며 “액상화 현상이 나타난 지역에서 건물을 지을 때 기초를 땅속 깊숙한 암반에 고정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현장조사팀도 18일 포항 지진 진앙 주변 지표지질 조사를 통해 액상화 현상 때 나타나는 샌드 볼케이노(모래 분출구)와 머드 볼케이노(진흙 분출구) 30여 개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