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워터프런트 조성사업의 성패를 가를 인천시 지방재정투자심사가 9일 예정된 가운데 사업 추진 타당성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최근 예측할 수 없는 국지성 호우가 잇따르면서 태생적으로 ‘물난리’에 취약한 송도국제도시 일대 방재기능 강화를 위해 사업이 반드시 추진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인천시는 9일 올해 두 번째 지방재정투자심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약 19개 사업이 심사대상으로 확정된 가운데 송도 워터프런트 1-1공구 조성사업도 심사에 포함됐다.
송도 워터프런트 사업이 지방재정투자심사를 받는 것은 이번이 여섯 번째로 연내 착공을 목표로 한 워터프런트 사업 추진을 두고 여전히 뒷말이 무성하다. 지난달 출범한 민선 7기 인천시정부가 워터프런트사업을 재검토 대상에 선정한데다, 일각에서는 남구 용현 갯골수로와 통합 조성해야 한다는 등 다른 견해가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움직임에 송도를 중심으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최근 강원도 강릉에 시간당 93㎜의 폭우가 쏟아져 도시기능이 마비되는 등 기후변화예측이 어렵다 보니 매립지로 조성돼 태생적으로 물난리에 취약한 송도의 해수방재를 위해 반드시 워터프런트 사업이 성사돼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실제로 해수부가 매립한 송도 9·10공구를 제외한 송도 전역의 높이는 5.2m~7m가량으로 현재 인천 앞바다 평균 해수면 4.6m보다 고작 1m가량 높을 뿐이다. 더욱이 올 하반기부터 송도 6·8공구에 조성된 주택용지에 입주가 시작되면서 만조 시 바닷물의 도심 유입을 막는 수문을 설치하는 워터프런트 사업 필요성이 더욱 높아졌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김형수 인하대 사회인프라공학과 교수는 “워터프런트사업 추진으로 송도지역에 비가 많이 올 때 빗물을 저류(물이 머무르게 하는 현상)시켜 바다로 흘러가게 하는 측면에서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제청의 한 관계자도 “워터프런트사업 친수기능이 너무 강조되다 보니 주목적인 방재기능이 등한시되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송도지역의 안정적 배수체계를 위해서라도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