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워터프런트 조성사업 추진(본보 8월8일자 13면)이 또 다시 재검토 대상으로 선정돼 연내 착공이 여전히 불투명하다. 사업추진의 성패를 가를 인천시 지방재정투자심사 결과 재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결론을 내림에 따라 이후 인천시 내부 논의과정이 중요하게 됐다.
12일 인천경제청에 따르면 최근 열린 인천시 지방재정투자심사 결과 송도 워터프런트 1-1공구 조성사업 지속 여부를 사실상 재검토하기로 결정했다. 심의위원들은 이 사업이 태생적으로 해수 물난리에 취약한 방재사업이라는 점은 인정하면서도, 인천시 자체예산으로 6천억원 가까운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는 점 등을 문제삼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최근 다른 지역의 집중호우 발생 등 예측할 수 없는 기상상황이 이어지는데다 올 하반기 송도 6·8공구 주택지역 주민 입주를 앞두고 있어 해수 방재 차원의 사업 추진 필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실제로 해수부가 매립한 송도 9·10공구를 제외한 송도 전역의 높이는 5.2m~7m가량으로 현재 인천 앞바다 평균 해수면 4.6m보다 고작 1m가량 높을 뿐이어서 만조 시 바닷물의 도심 유입을 막는 수문을 설치하는 워터프런트 사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 인천경제청의 한 관계자는 “이번 주 중 송도워터프런트 사업 추진을 놓고 시 차원에서 검토회의가 진행될 예정”이라며 “내부 논의를 거쳐 사업 추진 여부가 최종적으로 결정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