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 연간 370만t 처리 규모의 쓰레기 매립지 조성 가능성이 높아진(본보 9월 14일자 1면) 가운데 ‘민선 7기 쓰레기 전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수도권매립지 이전을 추진하는 인천시가 ‘매립지 유지 불가’를 선언하는 등 ‘쓰레기 폭탄’을 떠넘기기 위한 총공세에 나섰기 때문이다.
27일 경기도와 인천시에 따르면 다음 달 진행되는 ‘수도권 폐기물 전략 및 대체매립지 조성 연구용역 3차 보고회’를 통해 10여 곳으로 압축된 이전 후보지에 대한 조사결과가 발표된다. 이번 발표에서는 환경ㆍ수용성ㆍ경제성ㆍ인프라 등 4가지 분야를 중심으로 평가된 최종 후보지의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앞서 4자 협의체(경기, 인천, 서울, 환경부)는 수도권매립지(인천 서구 소재) 대책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수도권에서 발생한 생활ㆍ건설 폐기물을 처리하는 매립지의 운영 종료 시점이 2025년께로 예측됐기 때문이다. 최근 공개된 이전 후보지 37곳은 경기 32곳(86%), 인천 5곳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인천시는 수도권매립지 사용 연장과 관련, 연일 강경 입장을 쏟아내고 있다. 허종식 인천시 균형발전정무부시장은 지난 26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수도권매립지 문제는) 내 집에다 이웃집이 쓰레기를 버리는 셈”이라면서 “(최종 후보지 3곳이 발표되는) 내년 3월에 (매립지 종료) 로드맵을 발표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또 지난 14일에는 환경부가 수도권매립지에 매립량을 줄일 수 있는 폐기물 분리ㆍ선별시설을 설치하자고 제안했지만, 인천시는 시설 운영시 매립량이 줄어들어 수도권매립지 사용기한 연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반발한 바 있다. 이에 도는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당초 이전이 아닌 사용 연장을 기대했지만, ‘연장 불가’라는 인천시의 입장이 확고하기 때문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지역 주민들의 피해 때문에 더 이상 연장은 어렵다”며 “만약 경기도나 서울시가 3월 발표 이후 결정되는 대체 매립지 조성에도 미온적이라면 협의체나 발표를 통해 대책을 내놓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매립지 입지 최종결정은 4자 협의체로부터 나오는 것”이라며 “인천시가 연장은 불가하다는 뜻을 표하고 있지만 협약을 통해 가능성을 열어 둔 만큼 완전히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여승구ㆍ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