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수도권매립지 2025년까지 운영… 대체부지 물색
후보지 37곳 중 32곳이 도내… 지역사회 반발 예고
연간 370만t의 수도권 쓰레기를 받아내는 매립지가 경기도에 조성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주민 반발 등 지역갈등이 우려된다.
기존 인천의 매립지 대체 작업이 진행되는 가운데 대체 후보지 중 86%가 도내에 포진돼 있기 때문이다.
13일 도에 따르면 수도권매립지(실제 매립지만 약 616만㎡)는 도ㆍ서울ㆍ인천에서 발생한 생활ㆍ건설 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는 부지(인천 서구 소재)다. 현재 수도권매립지의 운영기한은 폐기물 수용량을 고려, 2025년까지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도와 서울ㆍ인천 등은 수도권매립지를 대체할 매립지를 물색 중이며, 그 일환으로 2016년 ‘수도권 폐기물 관리 전략 및 대체 매립지 조성을 위한 연구 용역’을 공동 의뢰했다.
이에 최근 연구팀은 대체 매립지 후보를 37곳까지 압축했다. 후보지는 경기도내 32곳(86%), 인천시내 5곳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1곳도 없었다. 후보지 선정 기준은 15년 이상 매립지로 사용 가능한지, 크기가 330만5천785㎡(100만 평) 이상인지, 상수원보호구역이나 군사시설로 묶여 있지는 않은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종 후보지는 연구 용역이 마무리되는 내년 3월께 3~4곳으로 정해진다. 도 등은 이들 후보지를 대상으로 주민의견 공람, 환경영향평가 등을 진행해 대체 매립지 1곳을 최종 선정한다. 특히 최종 후보지 3~4곳은 소재지까지 일반에 공개되는 만큼 이에 따른 지역사회 파장이 클 것이라는 관측이다.
기존 수도권매립지와 관련해 청라 국제 신도시 등 인천 서구 지역에서 악취 문제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청라에서는 하루에 많게는 100여 건의 악취 민원이 접수되고 있으며, 관계 당국은 악취 주원인으로 수도권매립지를 꼽고 있다. 대체 매립지가 도내 조성되면 연간 370만t의 쓰레기를 감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권매립지가 2015년 366만4천여t, 2016년 360만3천여t, 2017년 368만3천여t의 폐기물을 처리한 데 따른 것이다.
도는 대체 매립지와 관련, 신중한 자세를 고수하고 있다. 아직 논의를 이어가는 상황이고, 최악의 경우에는 수도권매립지 운영 연장이라는 대비책이 있기 때문이다. 앞서 수도권매립지의 운영기한은 2016년으로 점쳐졌지만 2015년에 현재 수준으로 연장된 바 있다. ‘수도권폐기물의 안정적ㆍ효율적 처리를 위한 이행사항’에 따라 잔여매립부지 중 3-1공구(103만㎡)를 추가 사용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안심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인천시는 지난 7월 연구용역 중간 보고 이후 “인천시나 서울시의 경우 도시가 밀집돼 있어 대체 매립지 공간 확보가 어렵지만 경기지역은 (매립지 공간을 확보할) 땅이 많아 세 곳의 광역단체 중 가장 유력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도 관계자는 “후보지 비중이 86%라고 해서 도내 매립지 조성 가능성이 86%라고 볼 수는 없다”며 “2015년 당시 선례처럼 현 매립지 사용이 연장될 수도 있는 만큼 추후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여승구ㆍ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