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국내 유입 방지를 위해 검역 활동을 강화했지만 사실상 ‘반쪽짜리’ 논란(본보 7월22자 1면)이 일고 있는 가운데, 결국 파주에서 국내 처음으로 ASF 확진 판정이 나왔다. 하지만 방역당국은 물론 지자체에서도 ASF 발생 원인을 명확히 파악되지 못하면서 여러 의문점이 제기되는 중이다.
17일 양돈업계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ASF는 세 가지 경우를 통해 발병한다.
■ 야생 멧돼지가 이동하며 바이러스를 옮기는 경우
이날 새벽 6시30분께 ASF 발병이 확진된 파주의 S농장은 창문이 없는 무창(無窓)형에 울타리가 쳐져 있는 밀폐형 농장으로, 외부에서 멧돼지의 출입이 차단된 구조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선 최근 태풍 ‘링링’이 한반도를 강타하면서 북한에서 떠내려온 멧돼지가 한강을 통해 농장 인근으로 유입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접경지역과 인접한 이 농장은 한강 하구와도 2~3km 떨어진 거리에 위치한다.
■ 농장 관계자가 최근에 ASF 발생국을 방문한 경우
S농장을 관리하는 농장주는 최근 해외를 방문한 사례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농장에서 근무하는 외국인 노동자(4명) 역시 ASF 발생국이 아닌 네팔 출신인 데다가, 근래 외국을 다녀온 일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 바이러스 등으로 오염된 음식물 잔반이나 사료를 먹인 경우
해당 농장은 어미돼지(모돈)로부터 새끼돼지(자돈)를 생산해 10주 정도 키운 뒤 가족이 운영하는 비육농장 2곳에 보내는 곳으로, 돼지를 키우는 과정에서 음식물 잔반을 급여하지 않고 사료를 먹여 온 것으로 확인됐다. S농장이 주로 먹인 사료는 A업체 제품이며, 자돈 사료는 B업체, 비육장 일부 사료는 C업체 등으로 구분된다. 이들 업체 모두 대개 대두 등 곡물류를 원료로 한 사료를 제작해 유통ㆍ판매하며, 이 속에 돈육 등은 포함돼 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S농장의 ASF 발생 원인이 3가지 경우에 모두 해당하지 않음에 따라 관할 당국은 정밀 조사를 거쳐 원인을 분석한다는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S농장과 농장주가 소유한 2개 농장 돼지 등을 모두 살처분할 것이고, 환경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해 접경지역 14개 시ㆍ군의 야생 멧돼지 개체 수도 조절할 것”이라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이연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