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기본소득 끝장 토론’의 핵심은 ‘지역화폐ㆍ기본소득의 경제 효과 여부’였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해당 정책이 ‘경제 수요’를 키우며 생산ㆍ투자ㆍ고용과 연계된다고 주장했지만 미래통합당 측은 이를 ‘헛돈’이라고 규정하며 실질적인 선별 지원 정책을 주문했다.
26일 밤 11시 10분부터 27일 0시 40분까지 진행된 MBC ‘100분 토론’은 코로나19 사태 극복 방안으로 논의되고 있는 재난기본소득을 주제로 진행됐다. 찬성 측 패널은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최배근 더불어시민당 공동대표(건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다. 반대 측 패널은 신세돈 미래통합당 공동선대위원장(숙명여대 경제학부 명예교수)과 이혜훈 미래통합당 의원이다.
우선 신 위원장은 “경기도가 1조3천억 원을 재난기본소득으로 풀어도 경제 성장 효과는 얼마 안 될 것”이라며 “소상공인에게 집중해 석 달에 거쳐 1천만 원씩 줘야 한다”고 선별 지원 정책을 제시했다.
이에 최 공동대표는 “소비가 위축되면 생산자가 타격을 받아 실업자가 생기고 소비와 유통까지 연쇄 타격이 일어난다”며 “가을 태풍 걱정 때문에 봄 재난을 방치할 것인가. 시급한 조치가 필요하다”며 재난기본소득 도입을 옹호했다.
이를 두고 이 의원은 “선거를 앞두고 시장을 다니는데 10만 원 지원으로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한다. 지금 소비를 줄이는 건 코로나19 때문이다. 사람들이 모이지 않기 때문”이라며 “코로나19가 종식되지 않으면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청와대의 조사(기초지자체)와 여론 조사에서도 60% 이상이 선별 지원을 선호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의원은 “헛돈 쓰는 거보다 적은 돈으로 효율 극대화하는 게 정책의 목표다. 전체 상위 30%를 제외하고 ‘숨 넘어가는 분들(소상공인 및 지역상인)’한테 집중하자”며 “(코로나19 지원 예산은) 제한된 돈이다. 모든 사람에게 줘도 부자들은 고마워하지 않는다. 차라리 그 돈으로 실질적 지원을 하자”고 덧붙였다.
이 지사는 “헛돈 쓰는 거보다 잘 써야 한다는 말에 100% 동의한다. 지금 경제의 핵심은 수요다. 기업의 공급이 아니다. 투자할 곳이 많고 돈이 없는 시대가 아니다”라며 “소위 고성장시대(돈은 많은데 투자할 곳이 없는)에 국가가 개입할 방식은 공급과 소비 중 소비의 여력을 키워 생산ㆍ투자ㆍ고용을 늘리는 것이다. 지역화폐는 공급이 아닌 수요를 보강하는 정책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또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기본소득도 준비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이어 이 지사는 “3개월 내 써야 하는 지역화폐로 지급하면 소비도 늘리고 자영업자와 중소기업 매출ㆍ생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수요를 창출하는 소비 측면의 경제활성화 정책”이라며 “새로운 위기에는 새로운 대응이 필요하다. (지금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지급 액수가 적지만) 경기도가 (이 정도 지방재정으로 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면 궁극적으로 (국가 차원에서) 1인당 100만 원 지급할 수 있다”고 재난기본소득의 절실함을 재차 호소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