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발(發) 코로나19 사태’가 일파만파 커지고 있다. 닷새 만에 연관 확진자가 80명을 넘어선 가운데 경기도가 물류센터에 대한 초강경 집합금지 행정명령을 내린 데 이어 정부가 수도권 공공ㆍ다중이용시설 운영 중단을 공표했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등교ㆍ개학이 속속 이뤄지고 있음에도 향후 2주 추이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로 복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28일 경기도청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부천 쿠팡 신선물류센터(제2공장ㆍ부천시 오정동)에 대해 이날부터 2주간 집합금지 행정명령을 발동했다. 사실상 영업금지 또는 시설폐쇄에 해당하는 조치다. 유흥시설이나 다중이용시설이 아닌 개별 기업 시설에 대한 집합금지 명령은 경기도 최초다.
이는 쿠팡 신선물류센터를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3일 물류센터 근무자(이태원 클럽 감염자로 인한 전파로 추정)가 아들과 함께 확진되고, 쿠팡 측이 지난 26일 물류센터를 자진 폐쇄했지만 이날 오전 10시 기준으로 전국에서 86명(경기도 31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물류센터 근무자ㆍ방문자 전수(4천100여 명) 조사 결과에 따라 확진자 수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더구나 수천 명이 근무하는 공간에 엘리베이터가 2대뿐이고, 100여 명이 함께 앉아 식사하는 등 취약 요인이 발견돼 ‘이태원 클럽 감염 사례(7차 감염까지 확인)’ 같은 무작위 전파 우려도 있다. 실제로 이날 물류센터를 넘어 콜센터, 학교 등에서 쿠팡 관련 감염ㆍ접촉자가 확인되기도 했다. 이에 도는 이번 사태로 일반 기업의 표본검사 수요가 커질 것으로 예상, 코로나19 검사 예산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도 경기도 대책에 맞물려 ‘생활 방역’ 24일 만에 ‘사회적 거리두기 회귀’를 검토하고 나섰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 브리핑에서 “(부천 물류센터 관련) 29일부터 6월 14일까지 약 2주간 수도권의 모든 부문에서 방역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면서 구체적으로 수도권 내 모든 공공ㆍ다중이용시설(연수원, 미술관, 박물관, 공원, 국공립극장 등)의 운영 중단, 공공이 주관하는 행사 취소ㆍ연기, 공공기관 유연 근무 적극 활용(재택근무제) 등을 제시했다.
박 장관은 “(이번 조치가 사회적 거리두기 복귀를 의미하는 건 아니지만) 지금 확산세를 막지 못하고 유행이 계속 커진다면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 3월 22일부터 4월 19일까지 일부 다중이용시설의 운영중단을 권고한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이후 운영제한을 완화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하다가 이달 5일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한 바 있다. 이 같은 ‘생활 방역’ 속에서 초ㆍ중ㆍ고등학교는 지난 20일부터 순차적으로 등교ㆍ개학하고 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