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Saving Lives, 적십자가 함께 합니다] ⑤생명 지키는 안전교육

적십자 요구 사항

“좋아서 하는 일이지만 누구보다 책임감을 갖고 생명을 구하는 일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대한적십자사 경기도지사 수상안전강사봉사회 소속 김순배 강사(73ㆍ수원)는 지난 1970년 ‘강사봉사원’으로 입회한 이래 50년간 후배 양성에 힘쓰고 있다.

과거 군 복무 시절, 휴가를 보내려 충남 서산 만리포해수욕장을 찾았던 김 강사는 풍경 사진을 촬영하던 부부가 절벽 아래로 떨어지는 모습을 우연히 목격했다. 즉시 물속에 뛰어들어 부부를 구출한 김 강사는 두 사람을 모두 구해냈지만 여성은 의식이 없는 상태였다.

생애 첫 수상안전강사증
생애 첫 수상안전강사증

당시 CRP(심폐소생술)이란 개념조차 미미하던 상황. 김 강사는 소방관이었던 선친의 영향으로 배웠던 매뉴얼을 더듬더듬 떠올리며 인공호흡을 시작했다. 과거를 회상하던 김 강사는 “그때 꺼져가던 생명을 살렸다는 보람을 아직도 잊을 수 없다. 이후 수상안전교육에 빠져 50년을 보냈다”며 “과거에는 수상안전에 대한 인프라가 부족해 교육은 물론이고 나 하나 훈련하기에도 어려움이 있었는데 지금은 적십자 내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이 마련돼 있어 수많은 강사가 또 다른 후배 강사를 양성하고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김 강사의 선행은 이에 그치지 않는다. 2012년 2월 설 연휴를 맞아 기찻길에 올랐던 그는 열차 안에서 쓰러진 임산부를 발견했다. 허나 누구도 구조 요청이나 응급 처치를 하지 못해 방관하기만 할 뿐이었다. 응급구조교육자격증을 취득하고 있던 김 강사는 임산부가 의식을 찾도록 조치를 취했으며 이윽고 임산부와 태아까지 총 2명의 생명을 살려냈다.

김순배 강사는 “수영장, 저수지, 하천, 산 등 일상생활 곳곳에서 누구나 숱한 고초를 겪을 수 있다. 나 자신과 타인을 살리기 위해 생명을 구하는 일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나이는 많지만 적십자 안전교육활동을 통해 후배들을 양성해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고 싶다”라고 밝혔다.

김현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