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대중교통 서비스가 일부 지자체로 편중돼 도민의 교통접근성과 편의성에 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이천)이 경기도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내 역사와 버스 노선 632개 중 58%에 해당하는 368개가 8개의 지자체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자체별 역사 개수는 용인시 24개, 의정부시 20개, 고양시 20개, 성남시 16개, 수원시 14개인 반면 포천시, 연천군, 안성시는 하나도 없었다. 또 여주시는 2개, 이천시는 3개였다.
인구 10만명 당 역사 수를 비교하면 의정부는 4.4개, 용인시는 2.2개였지만, 화성시는 0.5개, 하남시는 0.7개, 여주시는 1.3개, 이천시는 1.4개에 불과했다.
버스를 통한 서울 접근성도 불균형을 보였다. 경기도 시·군별 서울로 진입하는 버스 현황을 보면 광주시는 59개 노선, 남양주시는 47개 노선, 고양시는 30개 노선이 있었으나, 여주, 안성은 노선이 없었다. 이천시, 연천군, 과천시는 1개 노선이 전부였다
인구 10만명 당 서울진입 노선 수의 경우 광주시는 19.5개, 남양주시 6.6개, 성남시 3.2개였지만, 이천시는 0.5개, 의왕시는 0.6개에 그쳤다. 송석준 의원은 “교통편의성과 교통접근성은 도민의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며 “교통편의성이 떨어지는 소외지역에 대한 도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