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3기 신도시 투기 관련 전수조사에 착수하면서 경기도내 간부 공무원과 전ㆍ현직 경찰의 투기설, 투기의혹을 받은 시의원이 탈당하는 등 후폭풍이 ‘일파만파’ 커지고 있다.
7일 도내 지자체 등에 따르면 포천시 간부 공무원 A씨는 지난해 9월 부인과 공동명의로 지하철 7호선 연장노선 역사 예정지 인근 2천600여㎡와 1층짜리 조립식 건물을 매입해 논란을 빚고있다. 매입비용 40억원은 담보와 신용대출로 마련했다.
문제는 A씨가 지난 2018년말부터 2019년 말까지 해당 지자체에서 지하철 7호선 연장사업 담당 부서 간부로 근무하며 예비타당성 면제 등의 실무를 맡았다는 데 있다.
업무를 담당하며 알게 된 사전 정보를 이용, 역사 인근 부동산을 매입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부분이다.
A씨는 “공무원 신분이어서 사지 않으려 했으나 토지주 사정이 있어 부득이 매입하게 됐다”며 “혹시 문제가 있을 수 있어 변호사 자문까지 받았다”고 해명했다.
또 투기의혹을 받고있는 시흥시 민주당 소속 B의원은 탈당했지만 의원직 유지를 위한 ‘꼼수’ 탈당 논란이 나오고 있다.
B의원은 지난 4일 민주당 도당에 자진 탈당계를 제출했고, 도당은 지난 5일 A의원 탈당계를 수리했다.
이어 시의회는 같은 날 도당이 참여하는 의원총회를 열고 시의회 차원의 윤리특위 구성을 합의했다.
민주당 도당의 탈당조치를 놓고 의원직은 유지시켜 주면서 비난을 피하기 위한 꼬리자르기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하남에선 교산신도시 주민대책위 일부 주민 사이에서 공공기관과 가족 관계에 있는 시청 직원 다수가 지구 지정 이전에 땅을 매입했다는 이야기가 청사 안팎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도내 전ㆍ현직 경찰관 3~4명이 지구 지정에 이전에 땅을 매입했다는 얘기도 적잖게 회자되고 있다.
한편, 사법시험준비생모임(사준모)은 이날 신도시와 철도역예정지 등에 투기한 의혹을 받는 시흥시의원과 그의 딸, 포천시 간부 공무원을 공공주택 특별법 위반과 부패방지권익위법상 업무상 비밀이용 등 혐의로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고발했다.
지방종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