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25년까지 친환경 자동차(전기ㆍ수소차)의 정비소 및 검사소 확대를 추진한다.
앞서 경기지역에 2만2천여대가 넘는 전기ㆍ수소차가 운행 중이지만, 관련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지적(경기일보 30일자 1ㆍ3면)이 제기된 바 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0일 “오는 2025년까지 전기차 정비소 3천300개, 수소차 검사소 26개 이상을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 서울청사에서 ‘혁신성장 BIG3(반도체ㆍ미래차ㆍ바이오헬스) 추진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또 그는 미래차 배터리 등 무상수리 의무기간 확대와 함께 배터리관리시스템 등 검사기술ㆍ장비개발 연구개발(R&D) 투자도 적극 지원하며, 올해 안으로 전기ㆍ수소차 배터리 등 무상수리 의무기간을 2년ㆍ4만㎞에서 3년ㆍ6만㎞로 확대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부는 정비업 시설기준 완화와 검사장비 보급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정비업 시설기준 완화를 위해 일산화탄소와 압력측정기 등 내연기관용 시설기준 일부를 미래차에는 적용 제외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홍 부총리는 전문대 자동차학과 교육 과정을 미래차 중심으로 전환하고, 기존 정비책임자 정기교육 의무화 등을 통해 오는 2024년까지 4만6천명의 미래차 검사ㆍ정비인력도 육성하겠다고 덧붙였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