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리뷰] 보편성에서 찾아낸 새로운 이미지…‘틈의 풍경 between, behind, beyond’

젊은 작가 조명하는 기획전, 파주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에서 24일까지 열려

'틈의 풍경 between, behind, beyond' 전시 전경. 송상호기자

자신만의 세계 구축과 확장에 박차를 가하는 30대 작가들인 김세은, 라선영, 송수민, 황원해 등 4인을 주목하는 자리가 파주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에 마련됐다.

 

젊은 작가들을 조명하는 ‘미메시스 아티스트 프로젝트’의 다섯 번째 기획전인 ‘틈의 풍경 between, behind, beyond’다.

 

이들의 작품에는 보편적인 도시와 공간, 사람과 자연의 이미지를 다루는 시선이 녹아 있다. 작가들은 표면과 이면, 그 사이 생겨나는 틈을 각자의 방식대로 응시한다.

 

저마다 결이 다른 네 명의 작가들이 세상을 독해하는 관점을 어떤 측면에서 공유하는지 곱씹어보는 기회가 된다는 점에서 전시의 매력을 발견한다.

 

image
라선영 작가의 작품을 만날 수 있는 1층 전시공간 전경. 송상호기자

자연광이 때때로 스며드는 1층에선 라선영 작가의 작품이 존재감을 드러낸다. 얼굴 없는 사람 조각들이 교복, 작업복, 운동복을 입고 있다. 각자의 직업과 생활 영역 특성으로 세분화된 다양한 인간 군상은 삶의 풍경을 반영하는 하나의 소통 창구다.

 

이때 조각들은 눈높이보다 낮은 곳 혹은 바닥에 놓여 있어 관람객들이 조각을 조망하듯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객관화된 시선은 곧 개체와 개체 사이의 틈을 눈여겨보게 하는 계기가 된다.

 

2층으로 이어지는 계단과 아카이브룸 전경. 송상호기자

2층에선 작가들의 지난 전시 활동, 작업 동향 등의 궤적이 담긴 글과 영상 자료를 만날 수 있는 아카이브룸이 관람객을 맞이한다. 눈을 돌리면 회화 작가 세 명의 시선이 공존하는 장이 펼쳐진다.

 

송수민 작가의 작품에선 회화와 공간이 어떤 관계에 있는지 고민한 흔적이 엿보인다. 그는 전체를 먼저 구성하는 대신, 부분에서 출발해 하나씩 연상하며 확장한다. 캔버스의 형태와 갯수를 조정하는 것 역시 그런 관점의 연장선이다.

 

작가는 여러 개의 캔버스가 연결된 거대한 작업인 ‘고요한 소란 1+2’에서 화산폭발과 들꽃의 이미지를 다양한 시점으로 조합했는데, 이를 통해 재현된 풍경보다는 풍경과 풍경 사이의 상상지대이자 모호한 틈새의 풍경이 생겨난다.

 

송 작가의 작품 곁에 김세은 작가의 작품도 보인다. 도시와 자연을 본 뒤 느낀 감정을 형상화한 것인지, 눈에 비친 모습 자체를 뒤틀리게 그려낸 것인지 모호하게 보인다.

 

어쩌면 김 작가의 작품은 이렇게 될 수밖에 없는 필연적인 이유가 있을 것만 같다. 경험을 넘어서는 도시 곳곳의 이미지를 감각으로 드러내려면 추상의 형태에 가까워져야 하는 건 아닐까.

 

image
(상단) 송수민, 김세은 작가의 작품이 배치돼 있는 3층 전시 공간 전경/ (하단) 황원해 작가의 작품이 배치돼 있는 3층 전시 공간 전경. 송상호기자

같은 층에선 황원해 작가의 작품도 만날 수 있다. 황 작가는 도시 건축물의 부분에 내재한 물성, 도시의 평면성, 입체와 평면 사이를 오가는 이미지에 대한 관심을 드러낸다.

 

그는 ‘Facade in facade’, ‘Moire’ 등에서 그림 속 요소들의 결합과 와해를 통해 화면 영역에 표현되는 조형성이나 움직임을 잡아내는 과정을 작품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 같이 송수민, 김세은, 황원해 작가의 작품들이 일정 구간마다 느슨하게 교차되는 광경을 2층에 이어 3층에서도 지속해서 만난다.

 

이에 따라 관람객들은 세 작가가 각자의 대상에서 찾아낸 균열을 통해 이들의 작품 세계가 어떤 공통분모로 연결되는지 생각할 기회를 얻는다.

 

전시를 기획한 김미금 큐레이터는 “인간과 공간 등의 테마에서 새로운 이미지를 찾아가는 동시대 작가들의 한 경향에 주목하고자 했다”라며 “재구성된 풍경이 만들어내는 탐색지대를 살펴보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전시는 24일까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