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 보상비, 시공사 선정 문제 등으로 사업 지지부진…용적률이 발목 잡기도
경기도내 중동신도시 등 1기 신도시를 포함해 곳곳에서 다양한 형태의 재개발·리모델링이 추진되고 있지만 주민 갈등 등으로 속앓이를 하는 등 정비가 하세월이다.
20일 부천·안양·군포·성남·고양시 등에 따르면 이들 1기 신도시는 지난 1992년 입주가 완료된 뒤 30년이 지나 노후화되면서 재개발·리모델링이 진행 중이지만 갈등과 분쟁 등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
부천이 대표적으로 중동신도시 인근인 송내 1-1구역 등 9곳에선 재개발사업, 상동 한아름 현대아파트에선 리모델링 등이 추진 중인 가운데 상동 한아름 현대아파트는 지난해 12월 리모델링 주택조합 설립인가를 받고 올해 3월 안전진단을 신청해 7월 안전진단 용역에 착수하고 시공사를 선정할 예정이다. 하지만 토지 수용에 따른 보상비 문제와 조합원 간 갈등, 시공사 선정 문제 등으로 사업이 진척되지 않고 있다.
안양 평촌신도시도 사정은 마찬가지로 주민들의 의견이 재건축과 리모델링 등으로 나뉘어 진통을 겪고 있다.
이곳에선 그동안 리모델링이 활발하게 추진됐다. 실제 단지 54곳 중 26곳이 리모델링, 16곳에선 재건축을 계획하고 있고 다른 단지에선 두 사업을 두고 고민 중이다.
이처럼 리모델링 수요가 높았던 이유는 평촌신도시의 평균 용적률이 204%로 일산신도시(169%)와 분당신도시(184%) 등에 비해 높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부터 리모델링과 재건축 등으로 주민들 간 입장이 갈리기 시작했다.
성남 분당신도시에선 정자동 한솔마을 5·6단지, 야탑동 매화마을 1·2단지 등이 리모델링을 추진 중인 가운데 일부 단지에서 의견차로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
군포는 산본신도시를 중심으로 일부 단지에서 재건축이 추진 중이지만 용적률이 발목을 잡고 있다. 용적률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4단지 한라1차아파트의 경우 정부가 추진 중인 노후계획도시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안)과 상관없이 현행법으로 재건축을 추진하겠다며 지난해 5월 예비안전진단을 통과하고 행정절차를 진행 중이다.
고양 일산신도시도 재건축과 리모델링 등으로 나눠 진행될 예정으로 노후계획도시특별법을 반영해 지구단위계획을 정비할 방침이다. 내년까지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을 완성할 계획인 가운데 추가 분담금 문제로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시공사 선정까지 완료한 문촌16단지와 강선14단지 등지에선 재건축으로의 선회와 리모델링 계속 추진 사이에서 주민들이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일산신도시 백송마을5단지 박임규 동대표회장은 “재건축이든 리모델링든 하루빨리 진행돼야 한다”며 속도감 있는 사업 추진을 주문했다.
일산동구 반석공인중개사 김영세 대표는 “예비안전진단 면제와 용적률 상향 등 지난 2월 정부의 노후계획도시특별법 발표 후 단지들이 연합해 재건축을 추진하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