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값·경조사비에 수천만 원, 사용시간 ‘깜깜이’
시흥도시공사가 매년 업무추진비 수천만원을 식사비와 경조사비 등으로 사용하면서 ‘쌈짓돈’처럼 운영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특히 사용 내역이 대부분 ‘간담회’로 표기돼 구체적인 내용이 불투명하고 사용시간조차 명확하게 공개되지 않아 시민의 불신을 키우고 있다.
18일 시흥도시공사(이하 공사)에 따르면 공사는 올해 업무추진비로 사장 2천만원, 본부장 각 500만원, 실·처장 각 350만원, 부서별 시책추진비 등을 포함해 총 7천900만원을 편성해 사용 중이다. 지난 2023년과 지난해 임원급 사업추진비는 100% 사용됐다.
하지만 공사의 업무추진비 중 상당 부분이 간담회 명목의 식사비와 각종 경조사비 등으로 지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한 해 수천만원이 사용되고 있지만 세부 내역은 ‘○○간담회’ 등의 모호한 표현으로 기재돼 있다.
특히 일부 건은 같은 날 수차례 식사비가 결제된 정황이 포착됐으며 사용시간이 기재되지 않아 업무와 무관하게 사용한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공사가 밝힌 지방공기업 예산편성 기준은 ‘업무추진비를 집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집행목적, 일시, 장소, 집행 대상 등을 증빙서류에 기재해 용도를 명확히 해야 하고 건당 50만원 이상의 경우에는 주된 상대방의 소속 또는 주소 및 성명을 증빙서류에 반드시 기재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공사는 관련 정보를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으나 사용 목적이 모호하고 구체적인 참여자와 시간 등이 빠져 있어 실질적인 감시가 어렵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시민 A씨(46)는 “우리는 세금 한 푼 내는 것도 부담스러운데 공사는 수천만원을 밥값으로 쓰고 있다니 황당하다”고 토로했다.
시민 B씨(50)도 “업무추진비를 사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시 감사나 외부 감시기구의 감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업무추진비는 시민의 세금으로 조성된 공적자금인데 공사가 사비처럼 사용하고 있다”며 “사용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도록 제도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도 문제점을 지적했다. 회계 전문가는 “공공기관 업무추진비는 특정 목적을 위해 사용해야 하고 불필요한 지출을 막기 위해 세부 내역을 상세히 공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흥도시공사 관계자는 “업무상 필요에 따라 추진된 간담회와 경조사비”라며 “운영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개선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