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찡그림으로 큰 사랑 함께 나눠요

“작은 찡그림으로 큰 사랑 나눠요.” 꾸준한 헌혈로 사랑나눔을 실천해 온 군 간부가 있어 추운 겨울을 훈훈하게 하고 있다. 육군 7군단 예하 26기계화보병사단 명중대대 권유미 중사(25ㆍ여)가 주인공. 2009년부터 9년간 약 4만㎖에 달하는 헌혈을 해온 권 중사는 30일 헌혈 100회를 달성하며 대한적십자사 명예의 전당에 올랐다. 권 중사가 처음 헌혈을 하게 된 계기는 법적으로 헌혈이 가능한 만 16세 생일날 의미 있는 일로 생일을 기념해야겠다는 생각에 헌혈을 결심했고 이후 꾸준히 혈액 나눔을 실천해왔다. 지금까지 헌혈한 종류도 다양해 전혈, 혈장, 혈소판, 혈소판혈장 등으로 따뜻한 사랑을 나누고 있다. 권 중사의 혈액 나눔은 남편 김정훈 중사(29ㆍ6공병여단 근무)를 만나면서 더욱 활발해졌다. 2011년 김 중사와 만남을 이어오면서 서로 헌혈에 관심이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함께 헌혈을 해왔고 그 횟수만 해도 80여 회에 이르고 있다. ‘헌혈 데이트’를 즐기며 사랑을 키워온 두 사람은 2014년 결혼에 골인했고 부부가 동시에 헌혈 50회를 달성해 지난 2015년 5월 ‘헌혈유공장 금장’을 나란히 수상했다. 권 중사는 헌혈 후 받은 기념품을 병사들에게 나눠주며 헌혈을 권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모은 헌혈증을 기부할 계획도 가지고 있어 주변으로부터 ‘헌혈 전도사’라는 별명도 얻었다. 권유미 중사는 “헌혈의 장점은 작은 찡그림으로 큰 사랑을 나눌 수 있다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200회, 300회 이상 꾸준히 헌혈해 더 많은 분에게 도움을 주고 싶다”고 말했다. 양주=이종현기자

김포시, 올해부터 ‘화장(火葬) 장려금 지원제도’ 시행

김포시는 올해부터 ‘화장(火葬) 장려금 지원제도’를 시행한다고 3일 밝혔다.시는 “지난 2015년 1월 화장 장려금 지원 조례를 시행했으나 그동안 도시철도사업 등에 따른 재정여건으로 집행이 어려웠으나 도시철도건설 등 대규모 사업들이 마무리됨에 따라 올해부터 예산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지급 기준일은 지난 1일 이후 사망자부터 적용되며, 사망일 현재 12개월 이전부터 김포에 주민등록이 된 사망자의 장례를 화장으로 한 연고자에게 30만 원을 지급한다. 신청은 시청 노인장애인과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복지팀을 통해 가능하다. 사망 신고를 위해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할 때 화장증명서, 이용료 영수증, 통장 사본 등을 함께 지참해 신청서 작성 후 함께 접수하면 된다.그러나 신청기간이 화장일로부터 1개월 이내로 정해져 있어 기간이 지나면 지원금을 받을 수 없다. 다만, 제도 신설로 홍보 및 정착을 위한 계도기간이 필요한 점을 고려, 오는 6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기간 경과 분에 대해서도 접수받을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화장 장려금 지원을 통해 지역에 화장시설이 없어 높은 이용료를 내고 타 시·군에 소재한 화장시설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부담 경감에 도움이 되고, 더 나아가 화장률 제고와 화장문화 정착에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경기도, 따복버스 20개 노선에서 27개 노선으로 확대 운영

양주 홍죽산단~양주역 등 7개 시ㆍ군에 오는 3월부터 ‘따복(따뜻하고 복된)버스’ 노선이 신설된다. 이에 따라 경기도가 대중교통 취약지역의 교통여건 개선을 위해 운영 중인 따복버스 노선은 20개에서 27개로 확대된다. 3일 도에 따르면 도는 운송업체가 정규 노선 편성을 기피하는 벽지ㆍ오지지역 등 교통취약지역, 산업단지, 관광지 등을 대상으로 맞춤형 교통복지를 제공하기 위해 따복버스를 운행 중이다. 이런 가운데 도는 통근ㆍ통학불편 지역, 노선폐지 위기 지역, 버스공급이 부족한 지역 등 교통취약지역 등을 대상으로 올해 따복버스 사업에 신규로 참여하는 과천, 동두천, 양주 등 4개 시ㆍ군을 포함해 7개 노선을 증설하기로 했다. 3월부터 신설 운행되는 노선은 양주 홍죽산단과 1호선(양주역)을 연계하는 통근노선과 기산리ㆍ산성말 지역을 환승 거점과 연계하는 생활노선을 비롯해 과천 외곽지역 자연부락과 도심을 연계ㆍ순환하는 생활노선, 김포 도심 접근성을 높이는 생활노선과 공장밀집지대를 연계하는 통근노선, 동두천 신흥중고교ㆍ동두천중ㆍ보영중 통학노선과 도심 교통취약지역을 지하철과 연계하는 생활노선 등이다. 또한, 연천 노동리~동중리~석장리 교통취약지구를 경의선(전곡역)과 연계하는 생활노선, 부천 은행단지와 행정센터ㆍ생활편의시설을 연계하는 생활노선, 파주 마장리~기산리~영장리~고양동을 연계하는 생활노선도 운행 예정이다. 홍귀선 도 교통국장은 “이번 따복버스 운행 노선 확대로 도민의 교통편의 증진은 물론 산단 지역의 고용촉진과 관광객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시ㆍ군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대중교통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따복버스 노선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도는 지난 2015년 따복버스를 처음 도입했으며 현재 가평, 김포, 수원, 포천 등 12개 시군 20개 노선이 운행 중이다. 정일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