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 궐리사, ‘향교·서원 만들기 사업’ 선정

오산시는 화성 궐리사가 문화재청과 오산시가 지원하는 ‘2017년 살아 숨 쉬는 향교ㆍ서원 만들기 사업’에 2년째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문화재활용사업은 전국의 향교와 서원 등의 닫혀 있던 문화재의 문을 열어 시민들의 여가문화 확산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데 있다. 기존의 문화재 관람중심에서 오감을 자극하는 체험중심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문화재청의 정책이다. 오산시 궐리사 활용사업은 ‘행단에 열린 꿈 궐동학교’라는 명칭 아래 궐리사 안내 활동가양성과정을 12차에 걸쳐 진행하며 수료 후 궐리사 활용프로그램에 교사로 참여하게 된다. 궐리사 활용 프로그램은 크게 ‘공자 인문학’, ‘정조연계답사’, ‘궐리사백일장’, ‘행단별시’, ‘선율로 그리는 궐리사’ 등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5월 27일에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참여하는 백일장형태의 ‘행단별시’를 시행하며, 야간에는 가족과 함께 즐길 수 있는 LED공연과 풀피리연주로 화합을 도모할 예정이다. 궐리사는 본래 조선 중종 때 문신이자 공자의 64대손인 공서린이 서재를 세우고 후학을 가르치던 곳이다. 조선 정조 때 공자의 사당을 세우고 중국의 공자가 생장한 곳의 이름대로 지명을 궐리로 고쳐 오늘날에 이르고 있으며 공자가 제자들에게 글을 가르쳤던 곳을 ‘행단’(은행나무가 있는 단)이라 한다.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수원지기학교(031)205-3022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오산=강경구기자

문 대통령, 靑 비서실에 특수활동비 127억 중 53억 절감 지시

문재인 대통령은 25일 비서실에 책정된 127억 원 중 42%인 53억 원을 절감하라고 지시했다. 절감된 비용은 청년 일자리 창출, 소외계층 지원 예산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정도 청와대 총무비서관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룸에서 “특수활동비와 특정업무경비를 사용 목적에 부합하는 곳에 최대한 아껴 사용하고 절감된 재원은 정부가 청년 일자리 창출과 소외계층 지원 등을 위한 예산을 편성하는 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특수활동비는 기밀유지가 요구되는 정보 및 사건수사, 기타 이에 따르는 국정수행 활동에 직접 소요되는 경비이고 특정업무경비는 수사·감사·예산·조사 등 특정업무수행에 소요되는 경비를 지칭한다. 아울러 기획재정부 예산집행지침에서 규정된 대로 특수활동비와 특정업무경비 집행의 투명성을 높이고 대통령비서실 자체지침과 집행계획을 수립해 내부통제가 강화된다. 또 감사원의 특수활동비에 대한 계산증명지침에 따라 증빙 서류를 작성하여 사후관리도 강화할 계획이다. 2017년 절감집행 기준을 같게 적용해 특수활동비와 특정업무경비의 2018년 예산은 전년 대비 31%(50억 원) 축소된다. 문 대통령의 이 같은 지시는 오는 31일 기획재정부에 요구하는 대통령비서실 및 국가안보실 소관의 2018년 전체 예산은 전년 대비 3.9% 축소되는데 이는 특수활동비와 특정업무경비 예산의 축소 요구에 기인한다. 전체 예산을 축소 요구하면서도 국가안보실 기능 강화에 따라 국가안보 및 위기관리 사업은 2017년 대비 5.1% 증액 요구하여 대통령비서실 본연의 업무 수행에 차질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강해인 기자

3월 인천지역 은행 가계대출 증가폭 확대

한국은행 인천본부가 분석한 3월 중 인천지역 금융기관 대출은 은행 가계대출 증가폭이 확대됐으나 은행 기업대출 증가폭이 줄어듦에 따라 전월(7천189억 원) 대비 증가규모가 축소(5천600억 원)됐다. 은행 가계대출은 봄 이사철 수요로 인한 주택거래가 증대된 가운데 이미 분양된 아파트 중도금 및 입주자금 대출이 꾸준히 취급됨에 따라 전월대비 증가규모가 크게 확대된 2천328억 원으로 집계됐다. 기업대출은 중소기업 대출이 법인세 납부를 위한 운전자금 수요 등으로 증가했지만 대기업 대출이 분기말 부채비율 관리를 위한 차입금 상환 등으로 감소해 2017년 2월 2천866억 원과 비교해 증가규모가 축소된 492억 원으로 나타났다. 비은행 금융기관 가계대출은 정부의 비은행 가계대출 건전성 관리 대책 시행 등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증가규모가 축소된 1천20억 원을 기록했다. 3월 중 인천지역 금융기관 수신은 은행 수신이 증가규모가 확대됐으나 비은행 금융기관 수신은 증가폭이 줄어듦에 따라 전월(1조1천418억 원) 대비 증가규모가 축소(9천621억 원)됐다. 은행 수신은 일부 공공기관 재정자금의 대규모 유입으로 기업자유예금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증가폭이 확대(6839억원)됐다. 비은행 금융기관 수신은 상호금융 수신이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신탁회사의 단기자금운용 금융상품(MMT)에서 일부 법인자금이 유출됨에 따라 전월대비 증가폭이 축소(2017.2월 6천425억 원→3월 2천782억 원)됐다. 임준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