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설 명절을 앞두고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120억원 상당의 온누리상품권 구매 및 홍보활동에 나선다.그러나 전통시장의 주차시설 개선 등 실질적인 활성화 방안 없이 사실상 공직사회와 기업·기관 등에 대한 강매에 그치는 셈이어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시장현대화ㆍ편의시설확충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온누리상품권 판매실태15일 시에 따르면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올해 400억원의 온누리상품권 구매계획을 세우고, 오는 26일까지 설명절 집중구매기간을 운영한다. 설명절을 이유로 관공서와 유관단체, 기업 등에 구매협조를 요청해 단 기간에 120억원 상당의 상품권 구매실적을 올린다는 목표다.그러나 이 같은 조처가 전통시장 살리기의 미봉책에 불과하고, 사실상 기업, 기관, 단체는 물론, 공직사회에 대한 강매에 그치고 있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시민 위주의 판매전략 강화, 주차시설과 휴식시설 확충, 시설 안전성 확보 등의 보다 근본적인 활성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실제 시는 본청의 전 부서와 각 군·구, 공사와 공단 등을 대상으로 지난해 구매실적과 올해 구매목표, 설 명절 집중구매실적 등을 제출할 것을 요구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이와 함께 각종 시상이나 포상금, 사회단체 지원 시 온누리상품권을 적극 활용하고, 공무원 개인별로 현금 구입 뿐 아니라, 복지포인트를 이용해 온누리상품권을 조기 구입할 것을 장려하고 있다.특히 시는 이 같은 온누리상품권 구매실적을 복지포인트 대비 9% 이상 10점, 7%이상~9%미만 7점, 5%이상~7%미만 5점, 5%미만 3점 등으로 평가해 군·구행정실적평가 점수에 반영하고 있어 내부적인 반발을 사고 있다.한 일선 지자체 공무원은 “복지포인트의 활용도가 높아, 젊은 공무원들에게 온누리상품권 구매는 사실상 불편을 구매하는 것에 가깝다”며 “분위기상 목표에 일부 기여해야 해 구매에 나서고 있다”고 푸념했다.온누리상품권의 기업, 공공기관 의존도도 아직 52.6%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 2009년 상품권 발행 이후 전국적으로 공공기관이 5천615억여원, 기업이 9천721억여원을 구매하는 등 모두 1조5천336억여원 어치를 구매해, 개인 구매(1조4385억여원) 여력을 좀 더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시장현대화ㆍ편의시설 확충노력반면 인천시의 전통시장활성화는 크게 미비하다. 지난해 10월 중소기업청이 실시한 전국우수시장박람회에서 전통시장활성화 유공 포상을 받은 13곳 중, 인천지역 기관이나 단체는 전무했다. 인천지역은 상을 받을만큼 활성화되지 않았다는 것.주차시설 및 휴게시설 확충, 특히 안전성 확보 등 시설 개선도 미진하다. 한국시설안전공단이 최근 4년 간 지역 내 23개 전통시장의 안전점검을 벌인 결과, 무려 13개(56.5%) 시장이 당장 보수가 필요한 ‘미흡’판정을 받았지만, 개·보수 비용 책임 등의 문제로 대부분 보수가 지연되고 있다.전통시장의 한 관계자는 “온누리상품권 확대도 필요하지만, 안전문제 해결과 주차시설 등 편의시설 개선 등 현대화사업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시 관계자는 “일부 불만이 있을 수 있는 만큼, 상품권 구매실적으로 인한 평가제도 등은 장기적으로 없애도록 하겠다”며 “온누리상품권의 대시민 홍보에 더욱 집중하고, 특히 실질적 시장 이용객들을 위한 활성화 방안 마련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박연선기자
인천
박연선 기자
2017-01-15 2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