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금 두 배로 늘어

성남시 저소득층 가정을 대상으로 하는 기저귀와 조제분유 지원금이 두 배로 늘어났다. 수정·중원·분당구보건소는 저소득층 가정의 양육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올해 1월부터 기저귀 구매비용을 애초 월 3만2천 원에서 6만4천 원으로 확대했다고 22일 밝혔다. 조제분유 구매비용은 애초 월 4만3천 원에서 월 8만6천 원을 확대해 지원하고 있다. 기저귀 지원 대상은 기준 중위 소득 40% 이하(4인 가족 기준 건강보험 본인 부담금 직장가입자 5만3천927원, 지역가입자 3만3천899원)인 가정이면서 12개월 미만의 영아를 둔 가정이다.조제분유는 기저귀 지원 대상 중에서 산모가 질병이나 사망으로 모유 수유가 불가능한 경우에 지원한다. 각 구매 비용은 ‘국민행복카드’에 바우처(쿠폰)로 지급하며, 기저귀와 조제분유를 취급하는 나들가게 가맹점이나 우체국 온라인 쇼핑몰에서 살 수 있다. 신청 기간은 영아 출생 후 만 1년이 되는 날의 전날까지다. 생후 60일 이내 신청하면 최대 지원 한도인 12개월분을, 생후 60일 이후에 신청하면 만 12개월까지 남은 기간을 월 단위로 지원받을 수 있다. 대상자는 건강보험증 사본, 영아 부모의 소득 증빙자료, 주민등록등본을 갖춰 영아의 주민등록 주소지 보건소로 신청서를 내면 된다. 성남=문민석ㆍ강현숙기자

[단독] 시흥 주민자치협의회장, 부동산투자 명목 40억 챙겨 잠적

시흥시의 모 단체장 C씨가 주민들을 상대로 부동산 투자 명목으로 수십억 원을 받아 챙겨 잠적, 70여 명의 피해자가 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경찰에 고소할 계획이어서 파문이 일고 있다. 또 C씨는 공인중개사를 하면서 관리를 맡고 있던 주택과 상가건물의 전·월세도 가로챈 것으로 알려져 피해 규모가 4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돼 경찰의 시급한 수사가 요구되고 있다.22일 K씨 등 피해자들에 따르면 시흥시 주민자치협의회장과 정왕본동 주민자치위원장을 맡고 있는 C씨는 정왕역 앞 R공인중개사를 운영해 왔다. 이 과정에서 C씨는 수년 전부터 단체장임을 내세워 피해자들을 안심시키고 나서 부동산 투자 명목으로 돈을 받아 오다 최근 잠적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C씨는 자신이 맡고 있는 건물관리에 대해 월세의 경우 전세로 계약한 후 차액을 챙기고, 건물주에게는 월세를 지급하는 수법을 돈을 가로챈 것으로 알려졌다.시는 C씨가 투자비를 갖고 잠적한 사실이 알려지자 지난 18일 해촉했으며, 정왕본동 주민자치위원회도 긴급회의를 거쳐 지난 21일 C위원장을 위촉을 끝냈다.피해자 K씨는 “현재 확인된 피해자만 70여 명에 이르고 있으며, 피해자는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조만간 피해자들로 구성된 대책위를 구성해 경찰에 고소장을 접수할 예정이다”고 말했다.경찰도 이 피해 사실을 확인하고, 내부적으로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정식으로 고발장이 접수되면 수사에 본격 착수할 것이다”고 밝혔다. 시흥=이성남기자

김만수 부천시장, 일일 워킹스쿨 지도사 변신

김만수 부천시장이 지난 22일 오전 8시 원미구 소재 부천북초등학교에서 일일 워킹스쿨 지도사로 나섰다. 이날 김 시장은 초등학생 저학년들과 함께 등교하며 어린이 안전 활동을 몸소 체험했다. 또 현장에서 일하는 워킹스쿨(안전교육) 지도사, 녹색어머니, 교통안전지킴이 등 관계자를 격려하고,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는 시간을 가졌다. 부천시가 운영하고 있는 어린이 워킹스쿨 사업은 도시기반 인프라가 열악한 원도심 지역의 43개소 초등학교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전국 최대 규모의 사업으로 수혜 학생은 1일 평균 2500명에 이른다. 워킹스쿨 사업은 초등학교 어린이 교통안전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초등학생의 등하굣길에 159명의 워킹스쿨 지도사가 학교별로 지정된 2~6개소의 노선별로 10여명 내외의 어린이를 멘토식으로 인솔하며 현장에서 안전교육도 함께 실시한다. 지난 2014년 부천시 보호구역 내에서 발생한 어린이교통 사고건수는 6건으로 2010년 사업 추진 첫 해 대비 45% 감소하는(11건→6건) 성과를 거뒀다. 김만수 시장은 “어린이들의 안전한 통학로를 만드는 것은 시의 책무라 생각한다”며 “이번 협약이 시민들의 안전을 책임지는 약속이 되고 좋은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천=김성훈기자

고객돈 49억 주식투자로 '탕진' NH증권 前직원 징역6년

고객 돈 49억여원을 개인 주식투자에 써버린 NH투자증권 전 직원에게 실형이 선고됐다. 수원지법 형사12부(부장판사 이승원)는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횡령) 및 사기 혐의로 기소된 김모(44)씨에게 징역 6년을 선고했다고 22일 밝혔다. 김씨는 NH증권에 근무할 1997년 고객 A씨의 증권계좌 예치금 230만원을 동생 명의 계좌로 이체했다 다시 자신의 계좌로 받는 수법으로 2015년 7월까지 18년간 고객 20명의 자금 49억367만여원을 챙겨 개인 주식투자에 사용한 혐의로 기소됐다. 작년 4월에는 빚 변제에 사용할 목적으로 고객 B씨에게 "주식을 매입해주겠다"며 1억원을 받아챙기기도 했다. 김씨는 개인적으로 한 주식투자로 큰 손실을 보자 고객들의 돈에 손을 대기 시작했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피고인은 금융기관 직원으로서 고객이 예탁한 돈을 보관할 임무를 저버리고 이를 무단으로 이체해 사용하면서 고객에게는 허위로 기재한 잔고확인서를 교부해 범행을 은폐하는 등 장기간에 걸쳐 거액의 돈을 횡령, 편취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피해 회사(NH증권)가 고객 피해액을 변제했지만, 피고인이 피해회사에 변제한 돈은 1억원 남짓에 불과해 피해 회복을 위한 최선을 노력을 다했다고 보기 어렵다"며 "그 죄질 및 피해 정도에 상응하는 엄한 실형 선고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