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구 칼럼] 정미경·김진표, 누가 더 능력자인가 -수원무 선거구-

영통 아줌마가 말한다. “우리가 왜 비행장 이전 얘기를 들어야 하냐구요.” 권선 아저씨가 말한다. “오지도 않는 전철 급행 얘기를 왜 들어야 하냐구요.” 그만큼 수원무가 엉터리다. 이 동네 저 동네를 떼어다 붙였다. 권선구에서 6개 동, 영통구에서 2개 동을 추려(?) 갔다. 생활권도 다르고, 이슈도 다르다. 그런 동네에서 한 명만 대표자로 뽑으라 한다. 이러니 나오는 당선 공식이 동네마다 제각각이다. 어디선 구(舊) 선거구별 인구를 기준 삼는다. 2년 전 권선구민들은 정미경 후보를 택했다. 2008년 18대 총선 때도 그랬다. 그 권선구민들이 수원무에 16만2천816명 들어왔다. 4년 전 영통구민들은 김진표 후보를 택했다. 2004년 17대부터 쭉 그랬다. 그 영통구민들도 수원무에 9만9천561명 포함됐다. 62%가 옛날 정 후보 동네 사람이고, 38%가 옛날 김 후보 동네 사람이다. 정 후보가 이기는 공식이다. 어디선 지역 연고(緣故)를 기준 삼는다. 정 후보는 수원 출신이 아니다. 2008년 래수(來水) 해서 국회의원이 됐다. 타지(他地) 출신의 수원 입성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김 후보는 4살 때부터 수원서 살았다. 출신 중학교도 그 언저리다. 2004년 귀향(歸鄕)해서 국회의원이 됐다. 그의 이름 앞엔 언제나 ‘수원출신 최초의-’라는 형용사가 붙는다. 권선구엔 유독 수원출신이 많다. 김 후보가 이기는 공식이다. 두 공식대로면 선거는 끝난다. 그런데 그럴 것 같진 않다. 두 공식 무너지는 소리가 곳곳에서 들린다. 새누리당 권선구 당원 일부가 정 후보를 반대하고 나섰다. 정 후보로선 믿었던 동네에서 얻어맞은 한방이다. 김 후보의 연고 셈법에도 ‘반란’의 조짐이 꿈틀댄다. 8도(道) 집합소 영통구의 독특한 분위기다. 지금도 영통주차장은 명절 때마다 텅 빈다. 언제든 타지역 출신 정 후보에게 손 내밀 표들이다. 그래서 두 공식은 답이 아니다. 결국, 바람직하면서도 유일한 공식이 남는다. ‘능력 대결’이다. 정 후보는 능력자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이다. 인기 없는 소위지만 자청했다. 국방대학원에 다니며 전문지식도 공부했다. 군 전력(戰力) 문제, 장병 복지 문제 등을 앞장서 해결했다. 그러나 국방위에 자리 튼 그의 진짜 목적은 비행장 이전이다. 군(軍)에 파고들어가 비행장을 옮기겠다는 전략적 선택이다. 그만이 갖고 있는 권선구 현안에 최적화된 능력이다. 여기에 집권 여당 소속이라는 덤까지 있다. 김 후보도 능력자다. 부총리를 두 번 했다. 한국 경제를 관리했고, 한국 교육을 총괄했다. 관료 출신의 최대 무기는 인맥이다. 경제부처와 교육부처에 연결 지어진 그의 인맥이 대단하다. 특히 경제부처 내 ‘김진표 마피아’는 여전히 살아 숨 쉬는 권력이다. 그와 연 맺은 차관, 실ㆍ국장들이 중앙부처마다 수두룩하다. 비행장 이전도, 분당선 급행화도 돈이 관건이다. 그 돈의 맥을 잘 아는 이가 김 후보다. 이만하면 남 부러워할 능력자들 아닌가. 전국 유일의 무(戊). 돌아봐도 수원무 획정은 엉터리다. 유권자를 무시했고 행정을 무시했다. 그런데 그런 수원무에서 선거문화 혁신의 기회를 엿보게 된다. 인정(人情) 선거, 인연(因緣) 선거를 끝내고 정책(政策) 선거, 능력(能力) 선거로 갈 수 있을 거란 역(逆)을 본다. 그렇게 기대해도 좋을 소재는 던져졌다. 가장 성실하고 가장 능력 있다는 후보들이 모였다. 누가 당선되든 수원무의 선택은 당당할 듯하다. 이제 한 달도 안 남았다. 4월 13일 그날 저녁. 기자들은 수원무로 달려갈 것이다. 그리고 ‘정미경 당선’ 또는 ‘김진표 당선’을 메인 뉴스로 타전(打電)할 것이다. 그러면서 수원무는 ‘버림받은 지역구’에서 ‘부러움 받는 지역구’로 바뀔 것이다. 능력 있는 후보 중에 더 능력 있는 후보를 제대로 골라낸 모범적인 선거구가 될 것이다. 인구 26만2천377명의 선택. 수원무의 4ㆍ13 게임은 ‘누가 더 능력자인가’다. 수원무 후보자: 정미경(새누리당)ㆍ김진표(더불어민주당)ㆍ김용석(국민의당)ㆍ김식(민중연합당)ㆍ김현우(무소속) 김종구 논설실장

[천자춘추] 道 중소·벤처기업 기술력이 미래다

“경기도는 임대료도 비싸고 공공 R&D(연구개발)지원을 받기도 어려운 곳이다. 그래도 이곳에 머물러야 하는 이유가 있다.” 최근에 만난 한 바이오벤처기업 대표의 하소연이다. 정부는 비수도권 지역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많은 국책연구기관의 지방이전, 충청·경북권의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작 기업들은 수도권에서 움직이지 않는데, 그 이유가 궁금하다. 올해 2월말 기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에 등록된 전국기업부설연구소는 총 3만5천952개이다. 이 가운데 약 65%에 해당하는 2만3천409개가 수도권에 입지해 있는데, 대부분이 첨단 중소·벤처기업이다.이들이 다양한 지원혜택이 주어지는 충청도나 경상도, 전라도로 이전하지 못하는 것은 ‘고급인재 확보’와 ‘해외고객과의 접근성’ 때문이라고 한다. 첨단기업은 정보통신, 바이오, 나노 또는 융합기술로 장착된 창의적인 제품을 경쟁자보다 먼저 출시하여 시장을 선점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훌륭한 기술력을 가진 연구자와 신제품을 구매해 줄 고객이 필수다. 삼성전자나 현대자동차와 같은 대기업들도 근무지가 어디냐에 따라 ‘좋은 사람’ 뽑기가 어렵다고들 하는데, 하물며 중소기업은 어떠하랴? 연구 인력이 핵심경쟁력인 중소·벤처기업 CEO들이 수도권을 떠나지 못하는 이유이다. 또한 해외바이어들이 국내 벤처기업들을 방문하고자 하는 경우 서울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비즈니스를 시작하기도 전에 고객으로부터 기술적, 재정적 신뢰를 얻기가 어렵다고 한다. 비싼 임대료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에 머무는 두 번째 이유이다. 정작 정부와 비수도권지역에서도 이 사실을 잘 알고 있지만 정부는 여전히 비수도권 중심의 지역산업육성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닭이 달걀을 품어 병아리를 까듯이 서울·경기지역이 우리나라 첨단 중소·벤처기업들을 품고 있는데 이들을 하루빨리 부화시키려면 기존 틀을 바꾸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조만간 화려하게 부상할 경기도 중소·벤처기업들의 기술 잠재력을 깨워줄 마중물로 이들에게 연구개발, 공용연구장비시설, 기술사업화 등과 같은 관심어린 공공지원을 한다면 한미약품과 같은 성공사례가 나올 것이라 확신한다. 이연희 경기도과학기술진흥원 정책연구본부장

[기고] ‘물’이 만들어 가는 일자리 창출

UN의 산하기관인 UN-Water에서 물 관련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알리고 물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매년 3월 22일을 물의 날로 지정해 홍보와 캠페인을 하고 있다. 2016년 올해는 국제노동기구(ILO)와 공동으로 ‘물과 일자리(Water and Jobs) ’라는 주제를 정했다.일자리라는 단어와 물은 전혀 상관없어 보여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UN-Water와 ILO에서는 세계노동자의 거의 절반인 15억 명이 물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일자리에 종사하고 있거나 물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일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 물 관련 일자리를 더 넓은 시야로 바라보기 위해서는 물 산업에 대한 현황과 전망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영국의 물 전문 리서치기관인 GWI(Global Water Intelligence)에 따르면 2013년 기준으로 세계 물 시장 규모는 5천568억 달러에 달한다고 하며, 연평균 3.9% 성장하여 2018년에는 6천742억 달러에 달하는 시장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한국무역협회 자료에 따르면 2011년 매출액 기준으로 베올리아, 수에즈 등 주요 글로벌 15개 기업은 세계 물 시장의 51%에 달하는 4억8천959만 명에게 물 서비스를 제공하며 물 산업 선점에 열을 올리고 있다. 우리나라의 물 산업은 어떤가? 우리나라 물 산업은 K-water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한 공공부문이 주도하고 있으며,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아직도 국내 물 기업 중 임직원 10인 미만의 소기업이 전체의 70%를 차지해 기업 간 격차가 심하고 평균 수출 참여율은 4.5%에 불과해 제조업 평균 19.9%와 비교해서도 뒤쳐져 있어 선진국의 글로벌 물 기업에 비하면 사업규모가 영세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글로벌 물 전문기업 육성을 위해 물 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을 본격화 하는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2015년에 개최된 대구ㆍ경북 세계 물포럼을 통해서 우리나라 물 산업을 한 단계 발전시키는 계기로 만드는 등 국제적인 움직임을 따라서 물산업의 진흥과 육성을 지원하고 있다. K-water는 미래의 물 관리를 선도하고 국민들의 물 복지 실현을 위해서 기술개발과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기후변화와 물 관리 여건변화에 적응하는 한국형 통합 물 관리(IWRM)를 실현하고 정보통신기술(ICT)에 기반을 둔 물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과학적인 물 관리로 국제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건강한 물 공급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도입하여 수자원 관리부터 물 생산과 수송, 사용한 물의 처리와 재이용까지 지능화된 스마트 물 관리(SWG, Smart Water Grid)시스템을 통해 미래형 수돗물 공급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와 K-water의 노력은 우리나라 물 산업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물의 생산에서 공급과정 각 단계마다 관련되는 물 관련 기업의 동반성장과 확대를 견인하며 일자리를 창출하게 될 것이다. 더 많은 청년들이 더 좋은 일자리에 취업하면서 실업률 감소에도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물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인간의 생존에 국한하지 않고 산업의 성장과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한다는 또 다른 의미를 되새기며 물은 이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경제성장을 주도하는 미래의 성장 동력임을 더욱 더 주목하고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김희웅 K-water 양주수도관리단 고객지원팀장

5이닝 노히트… 넥센 잠재운 김광현

SK와이번스가 김광현의 호투를 앞세워 넥센 히어로즈에 이틀연속 승리를 거뒀다. SK는 16일 서울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린 2016 타이어뱅크 KBO 리그 시범경기 넥센과의 맞대결에서 3대0으로 승리했다. 이날 SK 에이스 김광현은 선발로 나와 5이닝을 5탈삼진 1볼넷 무실점으로 막았다. 공은 56개밖에 안 던졌고, 최고구속은 150km를 찍었다. 지난 10일 KIA 타이거즈전 2이닝 2피안타 무실점에 이어 시범경기 2경기 연속 무실점이다.주목할 점은 김광현의 주 무기는 슬라이더지만 이날은 직구 33개에 체인지업 20개를 던졌다. 슬라이더는 단 3개만 보여줬다. 완급조절만으로 넥센 타선을 농락한 김광현은 정규시즌 활약을 예고했다. 시범경기 성적은 2경기 7이닝 무실점이다. SK는 5회초 선두타자 이재원이 중견수 앞 안타로 포문을 열었고, 1사 후 이대수의 우익수 쪽 2루타로 2, 3루 기회를 만들었다. 조동화는 2루수 앞 땅볼로 가볍게 3루 주자를 홈으로 불러들여 결승타를 기록했다.8회초에는 김민식과 이명기, 헥터 고메스의 연속 안타로 무사 만루를 채웠지만 최정이 3루-2루-1루로 이어지는 병살타로 물러나며 1점을 보태는 데 그쳤다. SK는 9회초 마지막 공격에서 1점을 추가했다. 이진석의 안타와 2루 도루에 이은 김강민의 안타로 1사 1, 3루를 만든 SK는 최정민의 타석에서 1루 주자 김강민이 2루로 뛰었고, 넥센 포수 김재현이 2루로 송구한 틈을 타 3루에 있던 이진석이 홈까지 파고들었다. 박희수는 9회말 등판, 무실점 투구로 이번 시범경기 첫 세이브를 올렸다. 최근 3연승으로 상승세를 탄 SK는 시범경기 4승2패1무가 됐고, 넥센은 1승 5패로 최하위에 머물렀다.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에서는 kt wiz가 삼성 라이온즈에 3대8로 패했다. 1회초부터 폭발한 삼성의 타선에 고전한 kt는 0대5로 뒤진 6회말 2사 1, 2루에서 유한준의 좌월 3점포로 추격했다. 유한준이 케이티 이적 후 처음 그린 아치였다. 하지만 삼성은 8회초 1사 2루에서 이영욱의 좌중간 3루타와 김재현의 중전 적시타로 2점을 더 뽑으며 승기를 굳혔다. 이날 kt는 외국인 선발 요한 피노가 4⅓이닝동안 14피안타 5실점으로 무너졌다.조성필기자

안타 터진 코리안리거, 로스터 진입 ‘성큼’

시애틀 매리너스 내야수 이대호(34)가 메이저리그 시범경기 첫 2루타와 멀티히트를 신고해 빅리그 로스터 진입에 청신호를 켰다.또 지난해 12월 룰 5 드래프트(Rule 5 draft)로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유니폼을 입은 최지만(25)도 두 경기 만에 안타 생산을 재개했다. 이대호는 16일 미국 애리조나주 탬피 디아블로 스타디움에서 열린 메이저리그 시범경기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전에 5번 지명 타자로 선발 출전해 3타수 2안타 1타점 1득점을 기록했다. 이날 경기로 이대호의 시범경기 성적은 타율 0.286(21타수 6안타) 1홈런 4타점 5득점이 됐다. 1회초 2사 1·2루 첫 타석에서 이대호는 최근 2경기 침묵을 깨는 안타와 타점을 신고했다. 좌완투수 앤드루 히니의 바깥쪽 초구 볼을 골라낸 이대호는 몸쪽으로 바짝 붙는 2구가 들어오자 가볍게 잡아당겨 좌익수 앞 안타를 쳤다. 4회초 선두타자로 다시 나온 이대호는 2볼-2스트라이크에서 우완 사이드암 조 스미스 바깥쪽 공을 가볍게 밀어쳐 우중간 2루타를 쳤다. 시범경기 첫 번째 2루타이자 첫 멀티히트다. 이후 이대호는 대니얼 로버트슨의 2루타 때 홈을 밟아 시범경기 5번째 득점까지 올렸다. 6회초 투수 앞 땅볼로 아웃된 이대호는 3대3으로 맞선 8회초 2사 1루에서 포지션 경쟁자인 헤수스 몬테로와 교체됐다. 최지만은 6번 타자 1루수로 선발 출전, 이대호와 맞대결을 펼쳤다. 1회말과 3회말 뜬공으로 물러난 최지만은 5회말 저스틴 드 프라터스를 상대로 깨끗한 중견수 앞 1루타를 쳤다. 이날 4타수 1안타를 기록한 최지만은 시범경기 타율 0.258(31타수 8안타) 1홈런 6타점 4득점 1도루가 됐다. 시애틀과 에인절스는 4대4로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