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신규 O2O 서비스 성공 여부가 관건… 목표가↓-KB투자증권

KB투자증권은 11일 카카오에 대해 O2O(Online to Offline·온오프라인 연계 사업) 서비스 성공 여부가 관건이라고 판단한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14만50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이동륜 KB투자증권 연구원은 "카카오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68.8% 하락한 204억원에 머물러 시장 컨센서스(추정치)를 하회했다"며 "게임부문이 3분기를 저점으로 턴어라운드에 성공했고, 커머스부문 매출액이 4분기 성수기 효과에 힘입어 58.9% 고성장을 기록한 반면 광고부문이 기대치를 밑돌았다"라고 분석했다.그는 "PC 트래픽 감소 영향으로 온라인 광고 매출액이 15.6% 감소했고, 모바일 광고 역시 0.4% 성장에 그쳤다"며 "최근 수년간 캐시카우 역할을 해왔던 광고부문이 합병 이후 처음으로 역성장을 기록한 것은 우려 요인"이라고 판단했다.카카오는 올해 상반기 중 대리운전 서비스 '카카오 드라이버'와 미용실 예약서비스 '카카오 헤어샵' 등 신규 서비스를 출시하면서 O2O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또한 로엔 인수를 통해 콘텐트 부문을 강화했다. 하반기에는 인터넷 전문은행이 본격 출범하면서 핀테크 분야로 사업영역을 넓힌다.이 연구원은 "공격적인 사업 확장 및 인수합병(M&A) 과정에서 2016년 비용 상승은 불가피하다"며 "상반기 중 광고 매출액 성장이 제한적인 가운데 신규 O2O 서비스들의 매출액 기여 시점은 하반기로 예상된다"라고 설명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셀트리온, 램시마 FDA승인 임박…국내 바이오시밀러 업체도 '호재' - 현대증권

현대증권은 11일 미국 FDA 관절염 자문위원회가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램시마 승인을 권고한 것에 대해 향후 국내 바이오시밀러 업체에도 호재라며 제약 바이어업종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유지했다. 김태희 현대증권 연구원은 “앞서 지난 9일 미 FDA 관절염 자문위원회는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램시마에 대한 승인을 권고했다”며 “24명의 자문위원 중 21명이 승인에 찬성했으며, 오리지널 의약품인 레미케이드의 모든 적응증에 대한 승인을 권고해 램시마의 최종 승인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고 밝혔다. 현대증권은 지난 5일 FDA 검토관 역시 보고서를 통해 램시마가 레미케이드와 'highly similar'하다는 의견을 밝혔기에 이변이 없는 한 4월 초 최종 승인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승인 시 램시마는 작년에 허가받은 작시오(뉴포젠의 바이오시밀러)에 이어 미국 두 번째 바이오시밀러이며, 미국 첫 번째 항체 바이오시밀러가 된다.특히 이번 자문위원회 결과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외삽(extrapolation, 특정 적응증에 대한 임상결과로 오리지널이 가진 다른 적응증까지 허가를 받는 것)을 인정 받았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김 연구원은 “자문위원회는 소아 및 성인 크론병, 건선, 건선성 관절염 등 레미케이드가 가지고 있는 7개의 적응증에 대해 승인을 권고했고, 램시마의 처방은 보다 다양하게 이루어질 것이며, 다른 바이오시밀러 개발업체에게도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라면서 “때문에 셀트리온, 삼성물산, 바이넥스 등 국내 바이오업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권고한다”고 덧붙였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국내증시, 北리스크 해외증시 폭락에 사면초가

설 연휴 기간에 해외증시 급락과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같은 여러 악재가 발생하면서 11일 개장하는 국내증시에 미칠 영향이 주목되고 있다.10일 금융투자업계에 이날 일본 도쿄증시의 닛케이평균주가(닛케이225) 지수는 장중 4%대의 폭락세를 보이다가 낙폭을 좁히며 2.31% 내린 15,713.39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2014년 10월 이래 최저치다. 닛케이지수는 전날에도 5.40% 폭락했다. 일본 10년물 국채 금리도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미국 증시와 유럽 주요국 증시도 경제 성장 둔화 우려에 연휴 기간 동안 하락을 면치 못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지난 5일(이하 현지시간) 1.29% 하락한데 이어 8일과 9일에도 1.10%, 0.08% 하락 마감했다.유럽 증시도 연휴 기간 내내 내리막길을 걸었다. 특히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로 대형 금융주들이 강도 높은 조정을 받았다. 최근 증시 변동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국제유가도 공급과잉 현상이 지속할 것이란 우려에 또 30달러선을 밑돌았다.내부적으로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라는 악재까지 더해졌다. 북한의 미사일 발재로 정부가 개성공단을 전면 가동중단하겠다고 밝히면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이처럼 국내외 악재가 겹치면서 코스피가 단기간 내 올해 저점이 1850을 하회할 것이란 우려가 시장에서 제기되고 있다. 다만 세계경제 둔화 우려와 유가하락이 새롭게 생긴 이슈가 아닌 만큼 국내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란 시각도 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