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가 24일 김영삼 전 대통령의 국가장을 주관할 장례위원회를 총 2천222명으로 구성했다고 밝힌 가운데 고인의 유지에 맞게 상도동계와 동교동계 인사들이 포함되는 등 ‘화합과 통합’의 면면을 갖췄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장례위원장 1명과 부위원장 6명 외에, 고문 101명, 집행위원장 및 집행위원 6명, 장례위원 2천108명으로 구성됐다. 장례위원장은 법령과 전례를 따라 황교안 국무총리가 맡았고 부위원장은 새정치민주연합 이석현 국회부의장(안양 동안갑) 등 여야 국회 부의장 2명과 헌법재판소 재판관, 감사원장, 홍준표 경남지사와 유족측 추천인사로 김봉조 전 국회의원 등 6명으로 구성됐다. 홍 지사가 포함된 것은 관례적으로 출신 지역의 광역단체장을 부위원장을 두기 때문이라고 행자부는 설명했다. 고문에는 정의화 국회의장, 양승태 대법원장, 박한철 헌법재판소장, 이인복 중앙선거관리위원장 등 5부 요인과 새누리당 김무성·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정의당 심상정 대표(고양 덕양갑) 등 정당대표, 반기문 UN사무총장, 이명박 전 대통령, 김 전 대통령과 대척점에 섰던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4부요인, 국무위원, 김종필 전 자유민주연합 총재 등이 포함됐다. 집행위원장은 정종섭 행정자치부장관이, 집행위원은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윤병세 외교부장관, 한민구 국방부장관, 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강신명 경찰청장이 맡았다. 장례위원 2천108명에는 입법부에서 국회 상임위원장과 국회의원 및 국회사무처 차관급 이상 248명, 사법부에서는 대법원 대법관과 헌법재판관, 헌법기관 고위직 등 30명, 행정부는 장차관(급) 126명과 남경필 경기지사와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등 지방자치단체장 18명이 명단에 들어갔다. 또한 선관위 및 민주평통 29명, 행정부에서는 대통령 소속 위원회 등 19명, 3군 참모총장 등 군 대표 8명, 국공립 및 사립대 총장 196명도 장례위원에 포함됐다. 경제계, 언론계 등 각계 대표 87명과 기타 주요인사 등 1천347명 등이 첫 국가장에 참가해 고인을 애도한다. 상도동계 인사 뿐 아니라 정치적 라이벌이었던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동교동계 주요인사인 권노갑 전 새정치연합 상임고문과 임채정 전 국회의장, 정대철 새정치연합 상임고문 등도 포함돼 ‘화합과 통합’의 이미지를 보여줄 계획이다. 강해인김재민기자
정치일반
김재민 기자
2015-11-24 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