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인비, LPGA투어 개막전 준우승…통산 20승 무산

골프 여제 박인비(32ㆍKB금융그룹)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2020시즌 개막 대회인 다이아몬드 리조트 챔피언스 토너먼트에서 아쉽게 준우승, 통산 20승 달성에 실패했다. 박인비는 20일(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레이크 부에나 비스타의 포시즌 골프앤 스포츠 클럽 올랜도(파71)에서 열린 대회 최종 4라운드에서 버디 2개, 보기 2개로 이븐파 71타를 기록, 최종합계 13언더파 271타로 하타오카 나사(일본), 가비 로페스(멕시코)와 동률을 이루며 연장전에 들어갔다. 이어 18번 홀(파3)에서 진행된 연장 1, 2차전에서 세 명 모두 파를 기록한 뒤 가진 3차 연장에서 박인비는 티샷이 그린 왼쪽 해저드 빠지면서 탈락했다. 이로써 2003년 박세리(25승은퇴)에 이어 한국 선수로는 두 번째 LPGA 투어 20승 고지를 노리는 박인비는 2018년 3월 뱅크 오브 호프 파운더스컵 우승 이후 2년동안 무승 징크스에 시달리며 통산 19승에 머물러 있다. 한편, 허미정(31ㆍ대방건설)은 이날 8언더파 63타를 몰아치는 맹타를 휘둘러 최종 합계 12언더파 272타로 공동 4위의 선전을 펼쳤다. 또한 3라운드까지 2타 차 2위였던 김세영(27ㆍ미래에셋)은 이날 1오버파 72타를 기록, 최근 18라운드 연속 언더파 행진을 멈춰서며 최종합계 10언더파 274타로 공동 7위에 자리했다. 황선학기자

고진영, 미국골프기자協 선정 '2019년 여자선수'

세계 여자골프 랭킹 1위인 고진영(25ㆍ하이트진로)이 미국골프기자협회(GWAA)가 선정한 2019 올해의 여자 선수상을 수상하게 됐다. GWAA는 회원 비밀투표를 통해 선정한 올해의 선수상에서 고진영이 넬리 코르다(미국)를 제치고 가장 많을 표를 받았다고 8일(한국시간) 발표했다. 메이저 퀸 고진영은 시즌 내내 호쾌한 샷과 정교한 쇼트게임, 안정적인 퍼트 등 완벽에 가까운 경기력을 바탕으로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메이저대회 2승을 포함 시즌 4승을 올렸다. 이 같은 활약에 고진영은 지난해 LPGA 올해의 선수상을 비롯 메이저 최고 성적을 올린 선수에게 수여되는 안니카 어워드, 상금왕, 평균 최저타수상을 받는 등 지난해 LPGA 투어 주요상을 휩쓸었다. 한편, 올해의 남자 선수상에는 세계랭킹 1위 브룩스 켑카(미국)가 득표율 44%를 기록하며 로리 매킬로이(북아일랜드ㆍ36%)를 제치고 수상의 영광을 안게 됐다. 이 밖에 남자 시니어투어에서는 스콧 매캐런(미국)이 올해의 선수로 선정됐다. 고진영을 비롯한 3명의 수상자는 오는 4월 메이저대회로 치러지는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마스터스 토너먼트 개막 하루 전 미국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장에서 상을 받는다. 이광희기자

‘전설’ 소렌스탐 “최근 10년 최고 선수는 박인비”

세계 여자 골프계의 살아있는 전설 가운데 한 명인 아니카 소렌스탐(50ㆍ스웨덴)이 2010년대 최고의 여자 골프 선수로 박인비(32ㆍKB금융그룹)를 꼽았다. 메이저 10승ㆍ통산 72승의 전 골프여제 소렌스탐은 2일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인터넷 홈페이지에 실린 인터뷰에서 최근 10년간 최고의 선수를 꼽으라면 첫 째도 박인비, 둘째도 박인비가 되는 것이 맞다고 밝혔다. 이어 소렌스탐은 박인비는 지난 10년동안 엄청난 기량을 앞세워 압도적인 활약을 보여줬다. 특히 메이저 대회에서의 활약은 정말 인상적이었다고 말해 LPGA 투어서 지난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거둔 18승 중 6승을 메이저대회서 거둔 박인비를 칭찬했다. 한편, 이번 인터뷰에는 소렌스탐 외에도 현역 시절 88승을 거둔 캐시 휘트워스와 메이저 13승 포함 통산 82승을 따낸 미키 라이트 두 레전드도 참여했다. 두 사람 역시 박인비를 최근 10년 1순위 선수로 박인비를 지목했고, 2위로 뉴질랜드 교포 선수인 리디아 고(23)를 지명했다. 이번 레전드 3명에 대한 LPGA 투어의 인터뷰는 지난해부터 최근 10년간 활약이 두드러진 선수 16명을 선정해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는 팬투표의 일환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황선학기자

박인비 지난 10년간 LPGA '18승' 달성, '최고의 선수' 선정

골프 여제 박인비(31ㆍKB금융그룹)가 지난 10년간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에서 가장 돋보이는 활약을 펼친 선수로 선정됐다. 미국의 골프전문 매체인 골프채널은 29일(한국시간)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각종 기록을 정리한 결과 박인비가 LPGA 투어에서 18승을 거둬 가장 우승을 많이 한 여자선수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아울러 이 기간 집계한 18승 중 2013년 메이저 3연승 달성 등 통산 6승을 메이저 대회서 올려 이 부문 역시 최다를 기록했다. 세계여자골프랭킹에서 106주 동안 1위에 올라 최장기간 정상에 머문 박인비는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금메달을 비롯, 그해 역대 최연소 LPGA 투어 명예의 전당 헌액 등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전무후무한 금자탑을 세웠다. 지난 10년간 가장 어린 나이에 LPGA 투어에서 우승한 여자 선수로는 뉴질랜드 교포인 리디아 고(22)로 확인됐다. 지난 2012년 15세 4개월의 나이로 캐나다 여자오픈 정상을 밟은 리디아 고는 2015년 에비앙 챔피언십에서 18세 4개월의 나이로 우승해 역시 메이저 대회 최연소 우승 기록도 새로 썼다. 한편, 미국남자프로골프(PGA) 투어에서는 세계랭킹 2위 로리 매킬로이(북아일랜드)와 5위 더스틴 존슨(미국)이 나란히 18승 씩을 올려 공동 1위에 랭크됐다. 메이저대회로만 한정하면 매킬로이와 브룩스 켑카(미국)가 나란히 4승씩을 올려 공동 1위를 기록했다. 이 밖에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미국)는 지난 4월 마스터스 토너먼트에서 43세 3개월의 나이로 정상을 밟아 지난 10년 동안 가장 많은 나이에 우승한 최고령 선수가 됐다. 이광희기자

임성재, 싱글 매치에서 US오픈 챔프 우들랜드 제압

한국 남자 골프의 기대주 임성재(21ㆍCJ대한통운)가 대륙간 골프 대항전인 2019 프레지던츠컵 골프대회에서 올해 US오픈 챔피언 게리 우들랜드(미국ㆍ세계랭킹 17위 )를 꺾는 파란을 일으키며 첫 출전 대회의 대미를 장식했다. 아직까지 미국프로골프(PGA)투어 우승이 없는 올 시즌 신인왕 임성재(세계 36위)는 15일 호주 멜버른의 로열 멜버른 골프클럽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날 싱글매치에서 지난 6월 US오픈을 제패한 장타자 우들랜드를 4홀 차로 제압했다. 이날 임성재는 2번 홀(파5)에서 222야드를 남기고 아이언으로 친 두 번째 샷을 홀 3m 거리에 붙인 뒤 침착하게 이글 퍼트를 성공시켜 기선을 제압했다. 하지만 우드들랜드는 5번(파3), 6번 홀(파4) 연속 버디로 경기를 뒤집었고, 뒤지던 임성재는 9번 홀(4) 2m 버디와 11번 홀(파4) 버디로 재역전에 성공하며 승리를 예고했다. 이후 임성재는 13번 홀(파4) 버디에 이어 14번 홀(파4)에서는 두 번째 샷을 1.2m 거리에 붙여 승기를 잡은 후 15번홀(파5)에서 1.5m 버디를 성공시켜 승부를 갈랐다. 최종일 싱글 매치 승리로 임성재는 이번 대회에서 3승 1무 1패의 눈부신 성과를 거뒀다. 승리 뒤 임성재는 1번 홀부터 마지막까지 미스 샷이 거의 없었고, 원하는 샷이 다 잘 됐다. 경기 전에 연습할 때 샷 감각이 좋아서 퍼트에만 조금 집중을 하면 찬스가 있겠다고 생각했는 데 퍼트도 초반에 잘 돼 승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대회에서는 타이거 우즈가 이끄는 미국 팀이 이날 싱글매치서 6승 4무 2패로 선전을 펼쳐 21년 만에 정상에 도전한 인터내셔널 팀을 승점 합계 16대14로 따돌리고 8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25년 만에 미국 팀의 선수 겸 단장으로 뛴 타이거 우즈는 개인 최다승(27승) 기록에 팀 승리까지 안아 겹경사를 누렸다. 전날까지 승점 8로 10점의 인터내셔널 팀에 뒤졌던 미국은 이날 1대1 맞대결에서 절대 우위를 보인 끝에 인터내셔널 팀에 역전 우승, 통산 전적 11승 1무 1패로 압도적인 우위를 지켰다.황선학기자

골프 인터내셔널팀, 미국 상대로 ‘Again 1998’ 다짐

유럽을 제외한 세계 각국이 연합한 인터내셔널팀이 골프 최강국 미국과 맞서는 대륙간 골프대항전 프레지던츠컵이 오는 12일부터 호주 멜버른의 로열 멜버른 골프클럽에서 나흘간 펼쳐진다. 인터내셔널 팀은 지금까지 12차례 열린 프레지던츠컵에서 1승 1무 10패로 상대 전적에서 절대 약세를 보이고 있고, 올해도 객관적인 전력상 열세로 점쳐지고 있다. 미국은 단장 겸 선수로 뛰는 타이거 우즈(미국)를 필두로 더스틴 존슨, 저스틴 토머스, 잰더 쇼플리, 맷 쿠처, 웨브 심프슨, 패트릭 캔틀레이, 브라이슨 디샘보, 게리 우들랜드, 토니 피나우, 패트릭 리드, 리키 파울러 등 내로라하는 선수들로 올스타팀을 구성했다. 12명 중 파울러(22위)를 제외한 11명이 세계랭킹 20위 이내 선수다. 반면, 인터내셔널 팀에서는 18위 애덤 스콧(호주)과 20위 루이스 우스트히즌(남아공) 두 명만 20위 이내에 이름을 올렸을 뿐, 나머지 선수는 모두 20위권 밖이다. 다만, 단체전 특성상 객관적인 전력에서 밀리는 인터내셔널팀에게도 희망은 있다. 올해 대회 장소인 로열 멜버른 골프클럽은 1998년 대회에서 인터내셔널 팀에 유일한 우승을 안긴 기회의 땅이다. 호주 멜버른은 미국에서 비행시간만 20시간이 넘는데다 한낮 기온이 30℃가 넘는 남반구에 위치해있다. 미국이 프레지던츠컵에서 승리하지 못한 두 번 대회가 모두 이동 거리가 멀고, 기후가 생소한 남반구에서 열린 대회였다는 점을 상기해보면 이번 대회가 설욕을 위한 최적의 장소로 꼽힌다. 한편, 한국 출신으로는 부단장 최경주(49ㆍSK텔레콤)의 역할과 선수로 나서는 안병훈(28), 임성재(21ㆍ이상 CJ대한통운 ) 듀오의 활약을 기대하고 있다. 안병훈과 임성재는 9일 연습라운드에서 인터내셔널 팀 단장 어니 엘스(남아공)와 함께 샷을 점검했다. 인터내셔널 팀은 코리언 듀오 외에 스콧, 우스트히즌, 마쓰야마 히데키(일본), 판정쭝(대만), 리하오퉁(중국) 등 아시아계 5명과, 마크 리슈먼, 캐머런 스미스(이상 호주), 에이브러햄 앤서(멕시코), 호아킨 니만(칠레), 애덤 해드윈(캐나다) 등이 출전한다.이광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