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사협회 소속 460여곳 중 100여곳 설문
준공 2개월 지나도록 한 푼도 못받은 업체도
2차 협력사까지 줄도산 위기… 한전 “단계적 처리”
국내 대표 공기업인 한국전력공사(KEPCO)가 선로포장공사를 수주한 대한전문건설협회 회원사들에 선금 등 각종 대금을 제때 지급하지 않고 장기 체불(본보 6일 7면)한데 이어 한국전기공사협회 소속사들에도 장기 체불한 대금이 600여억 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준공 2개월 지나도록 한 푼도 못받은 업체도
2차 협력사까지 줄도산 위기… 한전 “단계적 처리”
6일 한국전기공사협회에 따르면 한전 배전 협회 소속 협력회사에 미지급된 공사대금이 지난 9월 말 현재 약 600억여 원 규모로 파악됐다. 이는 협회측이 지난 8월30일~9월4일 최근 3년간 전국 지역본부와 지사를 포함한 한전과 계약한 업체 총 460여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응답한 100여 업체를 대상으로만 파악한 결과이다.
협회측은 “600여억 원은 전체 업체 중 4분의1에 불과한 숫자로 미응답한 나머지 360여 업체들까지 포함하면 한전이 장기 체불한 공사 대금(선금, 기성, 준공대금)은 약 1천억 원을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한전이 발주한 ‘김포지사 배전센터 조성공사’를 한전인천지역본부로부터 4천800만 원에 수주한 C건설은 지난 7월 계약후 곧바로 착공해 9월 준공했으나 2개월째 공사대금을 한푼도 받지 못했다.
또 ‘시흥시 서해안로 지중화공사’를 한전 인천지역본부로부터 5억5천여만 원에 계약한 S사는 지난해 11월 계약과 착공을 진행해 올해 2월 준공시켰다. 공사도중 금액이 8억5천여만 원으로 증액변경계약이 체결됐으나 90% 수준인 7억7천여만원을 지급받고는 현재 공사가 중지된 상태다.
한전 배전 협력사들은 “수천만~수억 원의 공사대금을 받지 못하고 장기 체불로 어려움을 겪는 영세 중소업체들은 2차 협력사들에게 지급해야 할 장비대금을 마련하기 위해 은행대출은 물론 사채까지 끌어 쓰고 있다”며 “회사가 부도나기 전에 한전이 무슨 대책을 세워줘야 되는 것 아니냐”며 대책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전 관계자는 “전기료를 제때 인상하지 못하고 동결되고 있어 업체들에게 지급해야 할 공사대금을 제때 지급하지 못해 안타깝다”며 “미지급금은 추석 전 일부 처리했으며 앞으로도 단계적으로 처리하겠다”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디지털 뉴스콘텐츠 이용규칙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