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정태녕, 신경과 김옥준 교수팀은 세포 내 활성화 산소의 생성을 억제해 세포사멸을 감소시키는 아포시닌(apocynin) 약물과 태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이하 줄기세포) 병용요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급성기 뇌내출혈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4일 분당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정태녕ㆍ김옥준 교수팀은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 시 아포시닌을 투여하면 세포의 노화를 억제하분화를 증진시킨다는 기존 연구결과에 착안해 아포시닌과 줄기세포 병용요법을 개발했다. 급성기 뇌내출혈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아포시닌과 줄기세포를 함께 배양 후 투여했을 때 혈종(뇌출혈 덩어리)의 크기가 62.5%, 혈종 주변의 신경세포 손상이 59%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최근 ‘태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뇌출혈 치료효능에 대한 NADPH 산화제 억제제 아포시닌 전처치의 효과’라는 제목으로 생명과학전문 국제학술지 ‘분자과학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에 게재됐다. 또한, 아포시닌 약물과 줄기세포 병용요법을 한 급성기 뇌내출혈 치료방법은 국내 특허 출원 중이다.
정태녕 교수는 “이번 연구로 줄기세포가 뇌내출혈 치료에 수술적 보조요법 혹은 보전적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며 “아포시닌 병용과 같이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효능이 강화된 줄기세포 치료제를 제조할 수 있는 공정기술개발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옥준 교수는 “다양한 급성 뇌신경계 질환의 차세대 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 중”이라며 “ 번 연구결과는 뇌손상, 심정지 후 뇌허혈, 치매, 파킨슨병 등 기타 다른 뇌질환에도 응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정태녕ㆍ김옥준 교수팀은 지난 5월에도 ‘급성기 뇌출혈 시궁쥐 모델에서 인간태반유래 중간엽줄기세포 투여에 따른 사망률 및 혈종크기의 감소’라는 제목의 논문을 ‘국제 줄기세포학회지(Stem cells international)’에 게재하는 등 급성 뇌신경계 질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성남=문민석ㆍ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