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육대학교 스미스학부대학(학장 김용성)이 국내 대학 중 처음으로 장애인 문학론을 다루는 교양과목을 개설해 운영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학기 첫 개설된 ‘문학과 장애’(3학점)는 장애인 문학 이론을 이해함으로써 장애인의 삶을 탐색하고, 장애인 포용 인식을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은 15주차 과정으로 ▲장애인 문학의 개념부터 ▲장애문인 ▲장애인 출판 ▲장애인 방송 ▲드라마 속 장애인 등 장애인 문학 전반의 역사와 이슈를 폭넓게 다룬다. 이처럼 장애인 문학론을 통해 사회의 장애인관을 탐색하고, 궁극적으로 장애인 포용사회로까지 나아가는 길을 제시한다.
강의는 한국장애예술인협회 방귀희 회장이 맡았다. 방 회장은 지난 상반기 ‘장애인 문학론’(솟대 펴냄)을 출간하는 등 교과목 개설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해왔다.
방 회장은 “단발성 교육이 아닌, 대학의 정규 커리큘럼에 장애 인식 개선을 위한 교과목이 개설된 것은 국내 최초 사례”라며 “장애인관은 어떻게 형성되고, 장애인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이론은 무엇이며, 장애인지 감수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체계적으로 강의하는 최고 수준의 인문학 강의가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삼육대 스미스학부대학 김용성 학장은 “장애인복지 서적들이 늘어나고 이론이 정립되면서 관련 정책이 개발되고 전문가층이 구축됐듯이, 장애인예술 분야도 전문서와 대학과목 개설을 통해 이론과 현장이 함께 발전하게 될 것”이라며 “삼육대가 교육기관으로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삼육대 스미스학부대학은 앞선 지난해에도 ‘장애인예술의 이해’라는 교과목을 국내 최초로 개설한 바 있다. 이번에 신설된 ‘문학과 장애’까지 장애인 예술 관련 2개 교과목이 마련됐다. 대학 강단에서도 장애인예술 이론이 본격적으로 교육된다는 점에서 교육계의 이목을 끈다. 남양주=하지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