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전격 사퇴_‘文의 남자’ 조국은] 초대 민정수석… 권력기관 개혁 진두지휘

장관 지명부터 각종 의혹… 결국 도중하차

조국 법무부 장관이 14일 장관직에서 사퇴하면서 문재인 대통령과 조 장관의 오랜 인연에도 관심을 끌고 있다. 서울대 교수로 재직한 조 장관은 국가보안법 철폐운동을 내걸며 진보진영의 대표적 소장파 법학자로 꼽혔다.

조 장관은 2010년 대담 집인 ‘진보집권플랜’을 통해 진보 세력이 집권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대안을 제시하면서 현실 정치에도 발을 디뎠다.

조 장관과 문 대통령이 본격적으로 인연을 맺기 시작한 것은 2017년 대선에서다. 교수였던 조 장관은 SNS에서 정치 현안에 대한 입장을 개진하는 방식으로 문 대통령을 측면 지원하다가 본격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되자 전국을 다니며 직접 유세차에 오르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취임 후 초대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조 장관을 전격 발탁했다.

문 대통령의 ‘복심’이라는 평가를 받은 그는 검찰과 국정원 등 권력기관 개혁에 앞장섰고 현 정부 핵심 국정 기조였던 ‘적폐청산’을 진두지휘했다.

조 장관은 2년 2개월의 참모 생활을 마치고 지난 7월26일 청와대를 떠나 보름여만인 8월9일 법무장관 후보자로 지명됐다.

그러나 야권과 언론을 통해 조 장관과 가족의 사모펀드 투자 논란, 딸의 의학논문 제1저자 등재·장학금 특혜 의혹 등이 불거지면서 정국 상황이 급속도로 악화했다.

문 대통령은 각종 논란에도 지난달 9일 조 장관을 임명했다.

하지만, 여야 간 대립뿐 아니라 여권과 검찰 간 갈등으로까지 이슈가 증폭되고 서초동·광화문 집회로 국론 분열 양상까지 보이면서 문 대통령으로선 국정 운영의 부담을 안게 됐다.

조 장관이 여권에서 차지하는 상징적 의미가 작지 않았기에 각종 의혹으로 인한 논란이 여권에도 고스란히 부담으로 작용한 것이다.

결국, 조 장관은 이날 마지막 검찰개혁안을 발표함과 동시에 35일 만에 도중하차했다. 자연인으로 돌아가면 셈이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