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철도교통허브 부상… 타당성 용역착수” 추진 본격화
최대호 시장 “안양권·수도권 남부 도시발전에 크게 기여”
안양시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C노선의 ‘인덕원 정차’를 추진하기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돌입한다.
시는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GTX-C노선 건설사업 기본계획에 인덕원 정차를 위한 사전타당성 용역에 착수했다고 10일 밝혔다. 용역은 오는 12월께 자문회의와 국토교통부 협의를 거쳐 내년 3월 최종 완료될 예정이다.
GTX-C노선은 수원에서 양주 덕정까지 74.2㎞에 이르는 광역급행철도다. 국토교통부는 약 4조3천억 원을 투입해 오는 2021년 착공, 2027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
안양 관양동과 평촌동에 속하는 인덕원 일대는 지하철 4호선을 포함, 앞으로 건설될 인덕원∼동탄ㆍ월곶∼판교 복선전철노선의 정차가 추진되는 곳이다. 이로 인해 인덕원은 도시·광역·일반철도의 연계환승 및 수도권 최대 철도교통허브로의 부상이 점쳐지는 지역이기도 하다.
하지만 지난해 말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C노선 예비타당성 조사결과에서는 인덕원이 정차역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에 안양시는 인덕원이 철도교통허브로 급부상 한다는 점과 안양권 4개시(안양, 군포, 의왕, 과천) 주민들의 철도접근성, 이용수요 증대, 연계환승 편의 등을 고려해 C노선의 인덕원 정차 당위성을 경기도와 함께 여러 차례 건의하는 중이다.
앞서 지난 6일 열린 보고회에서는 역 정차의 기술·경제적 타당성 분석과 통합정거장 환승연계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인덕원 정차를 위한 최적의 대안을 도출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최대호 시장은 “타당성 확보와 국토교통부 협의를 통해 C노선 기본계획에 인덕원 정차가 반드시 이뤄질 수 있도록 시민과 함께 추진하겠다”며 “C노선 인덕원 정차는 많은 이들의 철도이용 편의와 상습적 교통체증 해소 나아가 안양권을 포함한 수도권남부지역 도시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양=한상근ㆍ박준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