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가구 발굴·맞춤형 지원
치매 앓던 70대 노모가 자신의 아들이 사망한 지도 모른 채 두 달간 ‘나홀로 생활’을 했지만 용인시에서 아무런 조치가 이뤄지지 않아 복지 사각지대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본보 14일자 7면)이 제기된 가운데 용인시가 전국 지자체 최초로 70세 이상 노인가구 실태를 전수조사 하기로 했다.
20일 용인시에 따르면 시는 70세 이상 노인이 있는 2인 가구의 실태를 전수조사하는 등 위기가구 발굴을 위한 대대적인 조사를 한다고 밝혔다.
실제로는 어려운 처지에 있는데도 재산이 있거나 경제활동 자녀가 있는 등의 이유로 관리의 사각지대에 있는 위기가구를 찾아내 적절한 도움을 주기 위해서다.
시는 우선 2~3월 중 노인 부부 또는 노인과 자녀가 함께 있는 가구 등 70세 이상 노인이 있는 모든 2인 가구를 방문조사해 고위험군 가구를 발굴하고 모니터링과 맞춤형 지원을 할 방침이다.
이어 정부의 행복e음 시스템에 빅데이터를 활용, 위기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관내 1천651가구에 대해 주민등록 사실조사와 연계해 2월 말까지 정밀조사를 할 방침이다. 대상은 단전ㆍ단수 가구나 전기료·각종 보험료 등이 체납된 892가구, 아파트 관리비나 임대아파트 임차료 등이 체납된 759가구 등이다.
시는 또 공동체 주도로 지역의 어려운 이웃을 돌보는 것을 목표로 복지사각지대 이웃을 발굴하는 ‘용인이웃지킴이’도 확대하기로 했다.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이나 통·이장, 주민 등 지난 연말 기준 1천615명이 활동하고 있는데, 약국이나 부동산중개업소, 고시원 운영자 등 지역 사정에 밝은 생활밀착형 업종 종사자를 추가 위촉한다는 계획이다.
백군기 용인시장은 “복지사각지대를 완전히 없애기는 쉽지 않으나 도움이 필요한 어르신이나 위기가정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하겠다”면서 “더욱 촘촘한 복지안전망을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용인=강한수ㆍ김승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